초공본풀이 (초공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제주도 굿에서 심방 조상의 기원과 내력을 풀이하는 서사무가.
내용 요약

「초공본풀이」는 제주도 굿에서 심방 조상의 기원과 내력을 풀이하는 서사무가이다. 이 무가를 구연하는 제차의 이름이기도 하다. 무조신인 젯부기 삼 형제와 그 어머니, 신병을 앓다가 무조신의 굿법을 배워 굿을 하게 된 유정승 따님 아기, 무악기를 만든 너사메너 도령 등의 내력을 통해 심방이 하는 굿의 당위성을 보여 준다. 전반부 서사는 「제석본풀이」 무가와 유사하다.

목차
정의
제주도 굿에서 심방 조상의 기원과 내력을 풀이하는 서사무가.
내용

옛날 임정국 대감과 김진국 부인 부부는 늦게까지 자식이 없었다. 부부가 큰 절에 시주를 하고 백일 불공을 드렸는데, 시주가 약간 모자란 탓으로 딸 아기를 낳았다. 딸 주1 15세 되는 해에 부모가 타지로 벼슬살이를 떠나게 되었다. 딸은 데리고 갈 수가 없으므로 방 안에 가두어 문을 잠그고, 종에게 문구멍으로 밥과 옷을 주며 키우도록 당부하고 집을 떠났다.

어느 날, 황금산 도단 땅 절에서 온 주자 선생이 아기씨의 집에 왔다. 아기씨에게 직접 시주를 받은 뒤 아기씨 머리의 가마를 만지고 돌아가니, 그 뒤 아기씨는 임신한 몸이 되었다. 집에 돌아온 부모는 그 사실을 알고 노하여 딸을 내쫓았다. 딸은 갖은 고생을 하며 남편인 주자 선생을 찾아갔다. 아기씨는 신표를 보이고 시험을 통과한 끝에 주자 선생의 부인임을 인정받고, 따로 집을 정해 살면서 얼마 뒤 아들 삼 형제를 낳았다. 각자의 이름은 ‘본멩두’ · ‘신멩두’ · ‘삼멩두’라고 주2 이들을 젯부기 삼 형제라 한다.

삼 형제가 자라서 서당에서 글공부를 하는데, 양반의 자식들에게 갖은 학대를 받았다. 그러나 참고 공부를 마쳐 양반의 자식들과 함께 과거를 보러 갔다. 삼 형제만이 과거에 급제하였는데, 양반의 자식들이 삼 형제가 중의 자식임을 발설하는 바람에 결국 낙방하고 말았다. 양반의 자식들은 삼 형제가 앞으로도 과거 응시를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지멩왕 아기씨를 감금하고 어머니가 죽었다는 거짓 소식을 삼 형제에게 알렸다. 삼 형제는 낙담하여 과거를 포기하고 어머니를 찾으려고 아버지를 찾아간다. 아버지는 어머니를 살려 내려면 삼 형제의 팔자를 그르쳐야 주3 방법을 알려 주었다. 삼 형제는 악기의 신인 너사메너 도령과 의형제를 맺어 북 · 장구 · 징 등 무악기를 만들고 울려 어머니를 살려 내고, 쇠철이 아들이 만든 무구 신칼로 양반들의 목을 베어 복수하였다. 삼 형제는 이렇게 굿법을 시작하여 삼시왕 무조신이 되었고, 그 어머니인 아기씨는 삼천전제석궁에 좌정한다.

한편, 젯부기 삼 형제는 유 정승 집안에 팔자를 그르친 딸 아기가 태어나게 한다. 유정승 따님 아기는 굿법을 배워 심방이 되었다.

특징

귀하게 자란 딸이 중의 아들을 낳게 된다는 본풀이의 앞부분은 전국적 분포를 보이는 「제석본풀이」 무가와 유사하다. 그런데 다른 지역에서는 이 무가의 주인공이 주로 ‘삼신’ 또는 ‘삼불제석’이 되었다고 한다. 아이를 낳게 해 주는 신이나 수명과 복을 치관장하는 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초공본풀이」의 전반부는 「제석본풀이」 무가와 비슷하지만, 후반부는 주인공들이 심방의 수호신 또는 시조가 되었다는 결말로 이어지는 내용이라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초공본풀이」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굿을 실행하는 심방의 기원을 설명하는 기원 신화라 할 수 있다. 제주도의 심방은 자신에게 내린 개별적인 신을 모시지 않고 멩두 조상을 모신다. 젯부기 삼 형제는 멩두를, 삼 형제의 어머니인 아기씨는 멩두를 모시는 당주를, 유 정승 따님 아기는 심방을 의미한다. 한국 무속에서 무조신으로 여겨지는 바리데기, 공심 등과의 관계 해명이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원전

『제주도 동복 신굿』(국립무형유산원, 2019)
현용준, 『(개정판)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단행본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민속원, 2015)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문학사상사, 1980)

논문

고은영, 「<초공본풀이>의 서사적·제의적 의미」 (『한국무속학』 40, 한국무속학회, 2020)
임니나, 「공심 무조권(巫祖圈)과 무조신(巫祖神)의 재해석」(『한국고전연구』 27,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주석
주1

딸 아기의 이름은 채록본에 따라 '자지멩왕 아기씨', '노가단풍 아기씨' 등으로 나타난다.

주2

본멩두는 요령, 신멩두는 신칼, 삼멩두는 산판을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다.

주3

팔자를 그르친다는 것은 심방이 된다는 뜻이다.

집필자
정진희(아주대학교 특임교원,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