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신 ()

목차
관련 정보
최용신
최용신
인물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농촌계몽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사회운동가. 농촌운동가, 교육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09년
사망 연도
1935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함경남도 덕원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농촌계몽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사회운동가. 농촌운동가, 교육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함경남도 덕원 출신. 아버지는 창희(昌熙)이다. 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여자신학교(현 감리교 신학교)에 재학하면서 농촌계몽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황애덕(黃愛德, 황에스터)의 지도로 농촌운동이론을 터득하는 한편, 1929년 황해도 수안에서 동료 김노득과 함께 3개월 동안 실제적인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학교를 중퇴하고 농촌운동에 전념할 것을 결심, 감리교선교사 밀러(Miller)의 후원을 받고 파송단체는 YWCA 소속으로 하여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샘골(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농촌교육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야학으로 시작하였으나 마을사람들의 도움으로 정식 교사(校舍)를 지어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농촌 어린이들을 가르쳤다.

교육내용은 문맹퇴치를 위한 한글 강습뿐만 아니라 산술·보건 및 농촌생활에 필요한 상식과 기술, 애국심과 자립심을 북돋우는 의식계몽 등에 힘을 기울였다. 당시 김활란(金活蘭) 등은 샘골에서 행한 최용신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여러 방면으로 지원하기도 하였다.

1934년 일본 고베신학교(神戶神學校)에 유학하였으나 신병으로 귀국하였고, 샘골에서 휴양하면서 농촌교육을 계속 전개하다가 장중첩(腸重疊)으로 병사하였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1964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에서는 용신봉사상(容信奉仕賞)을 제정하여 해마다 시상하고 있다.

심훈(沈熏)의 소설 「상록수」의 무대가 된 곳이 샘골이며, 여주인공 채영신(蔡永信)은 최용신을 모델로 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최용신은 국권상실기의 암울한 시대에 여성의 몸으로 농촌계몽과 민족의식 고취를 위하여 순교자적인 활동을 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민족과 교육』(손인수, 배영사, 1982)
『일제하 한국 농민운동사』(조동걸, 한길사, 1979)
『최용신양의 생애』(유달영)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손인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