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덕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평안도도절제사, 좌의정, 영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여화(汝和), 백수(伯修)
임곡(霖谷)
시호
정렬(貞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76년(우왕 2)
사망 연도
1445년(세종 27)
본관
통천(通川)
주요 관직
평안도도절제사|우의정|좌의정
관련 사건
4군 설치
내용 요약

최윤덕은 조선전기 평안도도절제사, 좌의정, 영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무신이다. 1376년(우왕 2)에 태어나 1445년(세종 27)에 사망했다. 무관으로서 동북방면 야인의 준동을 막는 공을 세웠다. 1419년(세종 1)에 삼군도통사가 되어 이종무와 함께 대마도를 정벌했고, 1421년에는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33년에는 평안도 도안무찰리사로서 야인의 침입을 격파하여 우의정에 특진되었는데, 무관이 재상 직에 오를 수 없다는 소를 올렸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435년에는 좌의정으로 승진했고, 1445년에는 궤장을 하사받았다.

정의
조선전기 평안도도절제사, 좌의정, 영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통천(通川). 자는 여화(汝和) · 백수(白修), 호는 임곡(霖谷).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최운해(崔雲海)이다. 태어나면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는 국경의 수비에 나가 있어 한마을에 사는 양수척(楊水尺)에 의하여 양육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힘이 세고 활을 잘 쏘았으며, 어느날 소에게 꼴을 먹이러 산에 갔다가 호랑이를 만나 화살 하나로 쏘아죽였다. 그 뒤 음관(蔭官)으로 기용되어 아버지를 따라 여러 번 전공을 세우고 부사직이 되었다.

1402년(태종 2)에 낭장이 되고, 곧 호군을 거쳐 이듬해 대호군이 되었다.

1406년 지태안군사(知泰安郡事)가 되었다가 1410년 무과에 급제하여 상호군이 되었다. 동북면조전병마사(東北面助戰兵馬使)가 되었다가 이듬해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에 올랐다.

1413년 경성등처절제사(鏡城等處節制使)가 되어 동맹가첩목아(童孟哥帖木兒)를 복속시켜서 야인들의 준동을 막았다. 영길도도순문찰리사(永吉道都巡問察理使) · 우군총제 · 중군도총제 등을 역임하였다.

1419년(세종 1)에 의정부참찬으로 삼군도통사가 되어 체찰사 이종무(李從茂)와 함께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1421년에는 공조판서가 되어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곧 평안도도절제사가 되었다. 1426년 좌군도총제부사, 1428년에 병조판서에 올랐다.

1433년 파저강(婆猪江)의 야인인 이만주(李滿住)가 함길도 여연(閭延)에 침입했을 때 평안도도절제사가 되어 이만주를 대파했고, 이 공으로 우의정에 특진되었다. 이듬해 적이 또 변방을 침입하자 평안도도안무찰리사(平安道都安撫察理使)로 나가 이를 진압했다. 돌아와서는 무관으로서 재상의 직에 있을 수 없다는 소를 올려 무관직에 전임할 수 있도록 요청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435년에 좌의정으로 승진했고, 이듬해 영중추원사에 전임된 뒤 1445년에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성품이 자애롭고 근검해서 공무의 여가를 이용하여 묵은 땅에 농사를 지었다.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남편의 원수를 갚아달라는 여인의 호소를 듣고 그 호랑이를 잡은 뒤에 배를 갈라 남편의 뼈를 찾아 장사를 지내게 해 준 일도 있다.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통천의 상렬사(尙烈祠)와 안주의 청천사(淸川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렬(貞烈)이다.

참고문헌

『태종실록』
『세종실록』
『국조인물지』
『조선명신록』
『연려실기술』
『해동잡록』
『대동기문』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