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본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부신(富神)인 사신(蛇神) 칠성의 내력을 풀이할 때 구연되는 서사무가.
내용 요약

「칠성본풀이」는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부신(富神)인 사신(蛇神) 칠성의 내력담으로 구연되는 서사무가이다. 부모도 모르게 중의 아이를 임신한 탓에 돌로 만든 함 속에 넣어져 바다로 축출된 아기씨가 뱀 일곱을 낳고 그 자신도 뱀으로 변신한 채 제주도로 떠내려 와서 제주도의 부군칠성으로 모셔지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부신(富神)인 사신(蛇神) 칠성의 내력을 풀이할 때 구연되는 서사무가.
내용

옛날 장나라 장설룡 대감과 송나라 송설룡 부인이 부부가 되어 살았다. 집안은 넉넉하나 자식이 없어 걱정하다가 큰 절 혹은 북두칠원성군에게 기도를 하고 딸 하나를 낳았다.

이 딸이 일곱 살이 되던 해에 벼슬살이를 떠나게 된 부부는 딸을 방 안에 가두고 종에게 보살피도록 하였다. 어린 딸은 부모가 그리워 살창 틈으로 빠져나와 부모를 찾아 헤매다가 중의 보호를 받아 같이 지내게 되었다.

딸이 없어진 것을 알게 된 부모가 돌아와 탄식을 하던 중, 어느 날 중이 딸을 데려왔다. 딸은 이미 중의 자식을 임신하고 있었다. 부모는 집안의 수치라 하여 딸을 돌함에 담아 바다에 띄워 버렸다. 돌함은 바다를 떠돌아다니다가 제주도의 조천읍 함덕리 바닷가에 떠올랐다.

이때 마침 작업하러 나가던 해녀들이 돌함을 발견했다. 무슨 보물이라도 들었는가 하여 열어 보았더니 뱀 여덟 마리가 기어 나왔다. 임신한 딸이 뱀 일곱 마리를 낳고, 자신도 뱀으로 변신한 것이다.

해녀들은 더러운 짐승이라고 집어던지고 갔는데, 그 날부터 몸이 아프기 시작하였다. 점을 쳐 보았더니, “외국에서 온 신을 학대한 죄 때문이니 굿을 하라.”하므로, 굿을 하고 위하였더니 병이 낫고 일시에 부자가 되었다.

함덕리에서 여러 해 모심을 받던 이 신들은 제주 성안으로 들어갔다. 칠성골 송대정(宋大靜) 현감의 부인이 집으로 모셔가 위하니, 이 집안은 크게 부자가 되고 현감 벼슬까지 났다.

이 집안에서 여러 해 우대받던 이 신들은 이 집안도 거의 다 되어 감을 알고, 각각 갈라져 얻어먹을 곳을 찾아가기로 하였다. 의논 끝에 큰딸은 추수 할머니로, 둘째 딸은 이방과 형방 차지로, 셋째 딸은 옥(獄)지기로, 넷째 딸은 과원(果園) 할머니로, 다섯째 딸은 창고지기로, 여섯째 딸은 관청 할머니로, 막내딸은 밧칠성으로, 어머니는 안칠성으로 자리잡기로 했다. 이 모녀신들이 각각 차지한 직능은 화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안칠성과 밧칠성이 되었다는 데에는 거의 공통적이다.

의의와 평가

「칠성본풀이」는 부를 일구어 주는 뱀신이 어떻게 조상신, 당신, 일반신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어 갔는가를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는 본풀이이다. 북두칠성 신앙과의 관련성, 나주 기민창에서 입도한 부신과의 관련성 등도 주목되고 있는바, 제주도의 사신 신앙의 변천 및 확대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신화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현용준, 『(개정판)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아카마쓰 지조·아키바 다카시 공편·심우성 역, 『조선무속의 연구(상)』(동문선, 1991)
赤松智城·秋葉隆, 『朝鮮巫俗の硏究』(大阪: 屋號書店, 1937)

단행본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민속원, 2015)

논문

강소전, 「제주도 칠성의 형성과 본풀이 전승」(『실천민속학연구』 27, 실천민속학회, 2016)
변숙자, 「<칠성본풀이>에 나타난 칠성신앙의 양상」(『탐라문화』 46,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허남춘, 「칠성과 부군(府君) 신앙, 뱀 신앙」(『비교민속학』 58, 비교민속학회, 2015)
주석
주1

제주도에서 고방(庫房)에 모시는 여자 귀신. 뱀의 화신으로 재물을 관장한다고 한다. 쌀독 위에 무명 일곱 자를 접어서 폐백으로 놓는다. 우리말샘

주2

집 울안에 모시는 칠성신 우리말샘

주3

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문곡(文曲), 염정(廉貞), 무곡(武曲), 파군(破軍) 따위 일곱 개의 별. 밀교에서, 이것을 섬기면 천재지변 따위를 미리 막을 수 있다 하여 북두 만다라를 본존으로 하는 북두법이 최대 비법이었다. 우리말샘

주4

음력 정월 초이렛날 야반(夜半)에 칠성신에게 올리는 제사. 한집안의 평안과 자녀의 장성을 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