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요 ()

익재난고(권4) / 탐라요
익재난고(권4) / 탐라요
고전시가
작품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민요.
이칭
이칭
북풍선
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민요.
구성 및 형식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권4 소악부조(小樂府條)에 노래의 내력과 칠언절구의 해시(解詩)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익재난고』에 따르면, 제주도인들은 산물(産物)이 별로 없어 육지인 전라도지방에서 장수들이 옹기와 쌀을 팔러오면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자주 오지 못하므로 한때는 북풍이 불어보내는 이 장사꾼 배를 눈이 빠져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 몽고목장이 설치된 뒤로는 관사(官私)의 우마(牛馬)가 논밭을 짓밟아 백성들은 경작할 땅조차 없게 되었고, 거기다가 관리들은 북새를 이루어 백성들을 더욱 못살게 하므로 여러 차례 변고가 일어났다. 이 노래는 이러한 제주도 백성의 참담한 생활상을 반영한 것으로, 이제현의 해시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밭두덩의 보리야 헝클어 쓰러져도/또한 언덕의 삼(麻)이야 움가지 나건말건/푸른 옹기 흰쌀이랑 가득히 싣고 오는/하늬바람 뱃님만을 바라보누나.” 노래의 제목이 따로 전하지 않으므로 노래의 소재를 따서 ‘북풍선(北風船)’이라 부르기도 한다.

참고문헌

『익재난고(益齋亂藁)』
「고려말기(高麗末期)의 소악부(小樂府)」(이우성, 『한국한문학연구』 1, 197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학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