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창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현 경기도 팽택시 팽성읍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이칭
이칭
경양창(慶陽倉), 경양포(慶陽浦)
정의
고려시대에 현 경기도 팽택시 팽성읍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개설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13조창을 설치하고 조운(漕運)을 통하여 각 지방의 세곡(稅穀)을 개경으로 운반하였다. 하양창(河陽倉)은 충청도 천안과 공주, 청주 및 그 주변 지역의 세곡(稅穀)을 모아 개경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내용

하양창은 고려 초기에 설치한 전국 12조창 중 하나로, 안성천이 아산만으로 흘러들어가는 현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지역에 위치하였다. 바로 옆에는 둔포천이 아산만으로 합류하고, 야트막한 야산인 망해산이 인접해 있다. 고려 초기 성종 연간(981~997)에는 하양창이 있었던 포구를 편섭포(便涉浦)라고 불렀으며, 그 이전에는 타이포(打伊浦)라 하였다. 992년(성종 11) 개경까지의 수경가(輸京價, 조운선의 운반 비용)를 정할 때에, 하양창이 있던 편섭포에서 개경까지는 세곡 13석 당 1석의 운반 비용을 책정하였다. 고려시대 하양창은 아주(牙州, 현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의 관할 하에 있었다. 아주는 천안 소속의 고을로서 고려 후기에는 별도의 지방관인 감무(監務)가 파견된 고을이었다. 하양창의 수세(收稅) 구역은 양광도 공주(公州)와 청주(淸州), 천안(天安), 그리고 그 속군현(屬郡縣)들이 중심이 되었다.

『고려사』에는 정종(靖宗) 때(1034~1046) 전국 각 조창에 배치할 조운선의 숫자를 정하면서, 하양창에는 1척 당 10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초마선(哨馬船) 6척을 두었다고 한다. 하양창에 모인 세곡은 서해안을 따라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되었다. 하양창을 비롯한 13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13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 때(1122~1146)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 규정에 따르면, 13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녹봉이 지급되었다.

변천과 현황

고려 말기 왜구의 침략 등을 겪으면서 아산만과 태안반도 일대의 조운 체계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고려 말기에 태안반도에 위치했던 조창인 영풍창(永豊倉)은 폐쇄되었고, 신창현(新昌縣)의 당성(溏城)이 새로운 수조처(收租處)로 운영된 적도 있었다. 조선 초기에는 범근천(犯斤川)과 공세곶(貢稅串), 경양포(慶陽浦) 등이 이 지역의 수조처로 기능하였는데, 경양포가 바로 옛 하양창이 있던 곳이다. 그러나 조선 초기 경양포에 들어오는 세곡은 직산(稷山)과 평택(平澤)의 것으로만으로 한정되었고, 청주나 공주, 천안 등의 세곡은 공세곶창을 거쳐 경창으로 운송되었다. 결국 15세기 후반에 이르면 경양포의 조창 기능은 공세곶창으로 이전되었다. 그리하여 『경국대전』과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충청도의 조세가 모두 공세곶창을 거쳐 경창으로 운송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 후기에 하양창은 경양현으로 승격하고 현령(縣令)이 파견될 만큼 중요시되었다. 그리고 경양현령은 염장관(鹽場官)을 겸임하였다. 하양창의 경양현으로의 승격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특수 행정구역의 군현 승격이 증가하는 14세기 중반 전후로 추측된다. 그러나 경양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6년(태조 5)에 혁파되고 직산에 소속되어 경양포라고 불리게 된다. 이때부터 옛 하양창이 있던 경양현 지역은 1906년까지 직산의 월경지(越境地)로 존속하다가 평택으로 이속되었다.

의의와 평가

하양창은 고려시대 전국에 설치된 13조창 중 하나로서, 아산만 연안에 위치했던 유일한 조창이다. 아산만 지역은 험난한 항해 지역인 안흥량(安興梁)을 피하여 경창으로 세곡을 바로 운송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지닌 곳이다. 고려시대 하양창은 양광도 청주, 공주, 천안 등과 그 주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고려 말기 하양창 지역은 경양현으로 승격되고 현령이 파견되는 등 조창으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졌으나, 그 역할은 오래 가지 못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인접 지역에 새로 만들어진 조창인 공세곶창에 그 기능을 대부분 넘겨주고 경양포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하양창 지역은 결국 15세기 후반에 조창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문경호, 혜안, 2014)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한정훈, 혜안, 2013)
『한국사: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14(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3)
「15·16세기 조창제(漕倉制)의 재정립과 그 이해방향」(한정훈, 『역사와 경계』 94, 경남사학회, 2015)
「여말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문경호, 『지방사와 지방문화』 17-1, 역사문화학회, 2014)
「조선 건국기 조운체제의 정비와 그 의미」(한정훈, 『진단학보』 120, 진단학보, 2014)
「고려~조선전기 조창(漕倉)의 분포와 입지」(정요근,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집필자
정요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