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연 ()

영의정 하연 영정
영의정 하연 영정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연량(淵亮)
경재(敬齋), 신희(新稀)
시호
문효(文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76년(우왕 2)
사망 연도
1453년(단종 1)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영의정
정의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 · 신희(新稀). 하즙(河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하윤원(河允源)이고, 아버지는 부윤 하자종(河自宗)이며, 어머니는 정우(鄭寓)의 딸이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봉상시녹사를 거쳐, 직예문춘추관수찬관(直藝文春秋館修撰官)이 되고, 이어 집의 · 동부대언 등을 역임하였다. 이 때 태종은 그가 주1으로서 의연한 자세로 일을 말하는 것을 보고 손을 잡고 치하했다 한다.

세종이 즉위하자 지신사(知申事)가 되어 조심스럽게 처사하여 신임을 받아 예조참판 · 대사헌을 역임하였다. 1423년(세종 5)에는 대사헌으로서 조계종(曹溪宗) 등 불교 7종파를 선(禪) · 교(敎) 양종(兩宗), 36본산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는 국가로 환수하고자 하여 채택받았다.

1425년에 경상도관찰사가 되었고 예조참판을 거쳐,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가 한때 천안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 유배에서 풀려 형조 · 병조의 참판을 거쳐 1431년에 대제학이 되고, 그 뒤 대사헌 · 형조판서 · 좌참찬 등 고위관직을 역임하였다.

1437년 의정부에 들어가서는 판이조사로서 이조의 일을 맡아 공세법(貢稅法: 연분9등, 전분6등)을 마련했으며, 1442년에는 각품의 행수법(行守法)을 제정하였다. 1445년에 좌찬성이 되어 70세로서 주2을 받았다. 이어 우의정 · 좌의정을 거쳐, 1449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영의정으로 있던 1451년(문종 1)에 문종대자암(大慈庵)을 중수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고 주3하였다. 의정부에 들어간 지 20여 년 간 문안에 주4을 들이지 않았고 법을 잘 지켜 승평수문(昇平守文)의 재상으로 일컬어졌다.

1454년에 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숙종 때 진주의 종천서원(宗川書院), 합천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제향되었다. 편서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 『진양연고(晉陽聯藁)』가 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국조방목(國朝榜目)』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사숙재집(私淑齋集)』
『경재집(敬齋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사간원과 사헌부에 속하여 임금의 잘못을 간(諫)하고 백관(百官)의 비행을 규탄하던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2

궤장연(几杖宴) 때에 임금이 나라에 공이 많은 70세 이상의 늙은 대신에게 하사하던 궤(几)와 지팡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    우리말샘

주4

윗사람을 사사로이 뵘.    우리말샘

집필자
이성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