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간전설집 ()

목차
구비문학
문헌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최상수가 각 지역에 전승되는 이야기를 채집하여 1958년에 발행한 설화집. 전설자료집.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최상수가 각 지역에 전승되는 이야기를 채집하여 1958년에 발행한 설화집. 전설자료집.
내용

1958년 통문관(通文館)에서 발행하였다. 편자가 1946년에 펴낸 『조선민간전설집(朝鮮民間傳說集)』·『조선지명전설집(朝鮮地名傳說集)』과 1947년에 발간된 『조선구비전설지(朝鮮口碑傳說誌)』 등을 합치고, 거기에 수십편의 자료를 보태어 엮은 책이다.

자료는 전부가 편자 자신이 전국을 다니며 직접 채집하여 기록하였고, 문장만 조금씩 다듬었을 뿐, 이야기의 내용이 달라질 만큼의 가필은 삼갔다. 217편의 자료를 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제주도·경상남도·경상북도·평안남도·평안북도·강원도·함경남도·함경북도의 순으로 도별로 나누어 분류하여놓았다.

각 편마다 서두에 제목이 붙어 있고 말미에 수집시기·장소·담화자의 이름이 밝혀져 있다. 책의 맨 뒷부분에는 한국전설분포표(韓國傳說分布表)·찾아보기·한국전설분류색인(韓國傳說分類索引)·최상수전설채집답사도(崔常壽傳說採集踏査圖) 등이 첨부되어 있는데, 한국전설분포표는 이 책에 발표된 자료와 그밖의 전설까지 포함하여 각 지역마다 어떠한 자료가 전승되고 있는가를 밝혀놓았고, 찾아보기는 사람이름·땅이름·사건이름·담화자이름을 각각 따로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놓았다.

한국전설분류색인은 ‘함몰전설(陷沒傳說)’·‘이물교구전설(異物交媾傳說)’식으로 내용에 의한 구분을 지어놓았다. 이 책은 전설자료집으로서 많은 가치가 있다.

집필자
김대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