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근사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응이 『근사록』을 참고하여 이황의 어록을 발췌하여 3권으로 간행한 유교서.
이칭
이칭
속근사록(續近思錄)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응이 『근사록』을 참고하여 이황의 어록을 발췌하여 3권으로 간행한 유교서.
내용

3책. 목판본. 『속근사록(續近思錄)』이라고도 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근사록』은 북송사자(北宋四子)의 어록을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편찬한 성리학 입문서인데, 『해동근사록』은 이황(李滉)의 어록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하였다.

이황의 글을 주자의 것과 병렬하여, 주자의 도통(道統)이 우리나라의 이황으로 이어지고 발전되었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이 책에서는 의리문화(義理文化)의 정통성은 우리 나라만이 간직하고 있다는 문화적 주체성을 강조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와는 서로 어긋난다고 생각하는 이학(異學), 즉 불(佛)·노(老)·장(莊)은 물론, 양명학(陽明學)을 비판하는 이황의 글을 실었으며, 주기론자(主氣論者)인 나흠순(羅欽順)의 글도 아울러 실었다.

조선시대에 쓰인 근사록류는 이이(李珥)의 『근사록구결(近思錄口訣)』, 김장생(金長生)의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정엽(鄭曄)의 『근사록석의』, 박지계(朴知戒)의 『근사록의의(近思錄疑義)』, 이익(李瀷)의 『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박이곤(朴履坤)의 『근사록석의』 등이 있다.

이들 중 이익의 것을 제외한 거의가 이이의 주장을 많이 인용하여 주석을 달았다. 그러므로 이들 학통이 기호학파에 속한다고 한다면, 이한응의 『해동근사록』은 영남학파의 학문적 전통을 대변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이한응(李漢膺)의 속근사록(續近思錄)에 나타난 이학관(異學觀)」(정인재, 퇴계선생탄생480주년기념국제학술회의논문집, 퇴계학연구원, 1981)
집필자
정순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