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산별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정의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개설

묘향산의 뛰어난 경치와 사찰·누정(樓亭)·암자·사적 등 경치 좋은 곳을 두루 찾아다니며 그 경치의 수려함에 감탄하여 지은 작품이다. 종래 이 가사는 「기성별곡(箕城別曲)」과 함께 ‘관서별곡’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 작자를 백광훈(白光勳)이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연구 결과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서별곡’은 별개의 것이 전승되어 왔고, 작자도 ‘백광홍(白光弘)’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구성 및 형식

이 작품은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330구이며, 국한문혼용체로 되어 있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3·3조, 2·4조, 4·4조 등도 드물게 보인다.

내용

처음은 출발 장면으로 동자 6∼7명과 어른 3∼4명이 묘향산 봄 풍경을 구경하러 떠난다. 다음은 탐승노정(探勝路程)으로 “법왕봉(法王峰) 아ㅤㅈㅕㄱ안개 돗난해예 바인난대 네뫼의 구름남기 그림속 연우로다 구천(九天)의 은하수가 세길로 나려오니 산주폭(散珠瀑) 나난형세 굿살을 혜잣난듯 용연폭(龍淵瀑) 깁흔소의 노룡이 잠겻난듯 상상층 천신폭(天神瀑)난 하날밧 소래로다……”라고 묘향산 경개의 전개와 감흥을 노래하였다. 끝으로 귀향에 앞서 뒤돌아 본 묘향산을 ‘만학천봉이 구름빛 뿐이로다’라고 끝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솜씨는 송순(宋純)의 「면앙정가(俛仰亭歌)」, 정철의 「관동별곡」과 비슷하고, 자유자재한 표현미, 화려하고 도도한 문장의 흐름은 이 가사의 운치를 더해 준다. 묘향산을 기행하고 쓴 「향산록」보다 그 표현 기교가 뛰어나다. 지지(地誌)·고적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박노춘·이상보·정익섭 편, 정연사, 1961)
「관서별곡(關西別曲)과 출관사(出關詞)」(고경식, 『국어국문학』36, 1967)
「관서별곡고이(關西別曲攷異)」(김동욱, 『국어국문학』30, 1965)
「관서별곡연구(關西別曲硏究)」(이상보, 『국어국문학』26, 1963)
「관서별곡(關西別曲)」(이주홍, 『국어국문학』13, 195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