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일 ()

불교
인물
대한민국 범어사 금어선원의 조실로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한 승려.
이칭
본명
하동규(河東奎)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0년
사망 연도
1965년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상방리
주요 경력
범어사 금어선원 조실|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내용 요약

혜일은 범어사 금어선원의 조실로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한 승려이다. 계정혜 삼학 중에서도 계행의 실천을 강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50년대 불교 정화 운동을 선두에서 주도하였다. 범어사의 금강계단 전통을 정립시켰으며, 전계 대화상이 되어 많은 불제자를 배출하였다.

정의
대한민국 범어사 금어선원의 조실로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한 승려.
인적 사항

본명은 하동규(河東奎). 법호는 동산(東山). 법명은 혜일(慧日). 본관은 진주(晉州).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성창(性昌)이며, 어머니는 정경운(鄭敬雲)이다. 3·1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오세창(吳世昌)이 그의 고모부이다.

생애 및 주요 활동

7세부터 서당에 들어가 한학(漢學)을 익혔고, 15세에 고향의 익명 학원(益明學院)에 입학하여 19세에 졸업하였다. 이후 경성으로 올라가 1910년에 중동학교(中東學校)를 졸업하고 의학 주13에 입학하였다. 1912년에 의학 전문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동래 범어사(梵魚寺)로 내려가 주14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그 뒤 맹산(孟山)의 우두암(牛頭庵)에서 한암(漢巖)에게 사교(四敎)를 배웠다. 이후 범어사로 돌아와 대교(大敎)를 배웠으며, 1923년에 장성 운문암(雲門庵)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 뒤,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금강산 마하연사(摩訶衍寺), 속리산 복천암(福泉庵), 마천 백운암(白雲庵), 김천 직지사(直指寺) 천불선원(千佛禪院) 등 전국의 선실(禪室)을 찾아 수행하였다. 이처럼 출가하여 먼저 교학을 연마한 후에 선원에서 정진하였던 수행 이력이 말해 주듯, 전형적으로 주1을 지향하였다. 선교 일치의 관점을 취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사교입선의 전통을 지니는 간화선(看話禪)의 전통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1941년에는 서울의 선학원(禪學院)에서 열렸던 은사 용성의 유교 법회(遺敎法會)에 참석하여 선지(禪旨)를 주15. 그에 앞서 그는 1936년에 범어사에서의 주2 당시, 용성에게서 주8의 전계증(傳戒證)을 받은 바 있다. 즉 조선 후기 자생적인 서상수계(瑞祥受戒)의 계맥을 용성에게서 전수받은 것이다. 그 전법 주3이 공개되거나 파악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혜일의 계맥은 다시 제자 성철(性徹)에게 전수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범어사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은 그에 의하여 전통이 세워졌는데, 여러 해 동안의 교수아사리(敎授阿闍梨)를 거쳐 1943년에 전계 대화상(傳戒大和尙)이 된 뒤 1965년 입적하기까지 수많은 주4를 배출하였다. 범어사 금강계단의 계맥(戒脈) 외에도, 지리산 칠불선원(七佛禪院)의 대은(大隱) 주5에서 시작되어 금담(錦潭)-초의(草衣)-범해(梵海)-선곡(禪谷)-용성의 여러 율사로 전수되어 온 계맥도 전수받았다.

해방 이후 1954년에는 전국 비구의 선두에 서서 불교 정화(佛敎淨化)를 주도하였다. 그는 전국 주6 대회를 통해 주7으로 추대되었다. 그를 주축으로 한 비구승들은 대처승에 의하여 강점되었던 태고사(太古寺)를 다시 찾기 위하여 소송을 제기하여 1954년 11월 5일 정식으로 태고사를 접수하고 조계사(曹溪寺)라 개칭하였다. 종정으로서 불교 정화를 이끈 그는 1962년에 비구-대처의 통합 종단이 성립된 이후 모든 직책을 사임하고 범어사로 돌아와 후학들을 지도하다가, 1965년 음력 3월 23일에 입적하였다.

한편 불교 정화를 이끄는 와중에 세계 불교도 대회에 참석하여 한국 불교와 정화의 취지를 알리기도 하였다. 1955년에 네팔에서 열린 제4차 세계 불교도 대회에 한국 종단의 대표로 효봉(曉峰) · 청담(靑潭)과 함께 참석하였고, 1956년에는 방콕에서 열렸던 세계 불교도 대회에 참석하여 한국 불교를 널리 알리는 데 힘을 쏟았다.

학문 세계와 사상

그는 ‘삼학원명(三學圓明)’이라고 하여 주9 삼학을 구족할 것을 강조했다. 삼학 중에서도 주10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계율의 수지 없이 삼학을 등지(等持)할 수 없다고 했다. 즉 계가 없는 정(定)이 없고, 정이 없는 혜(慧)가 없음을 알고 수행해 나간다면 저절로 계정혜 삼학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불교계의 혼란 속에서 주11주12가 혼동되는 현실을 몹시 우려하며 계행(戒行)의 준수를 강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수행자의 마음 쓰는 법은, 자심(自心)이 곧 부처라는 전제로부터 시작된다고 하면서, 성품이 곧 부처이고 부처가 곧 성품임을 알 때 그 깨달음의 길이 열린다고 보았다. 즉, 계행(戒行)의 궁극적 목적은 자성(自性)을 회복하여 깨치는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혜일이 종단의 청정 가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정화 운동에 힘을 기울였던 것도 바로 이러한 계행의 강조와 실천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유첩(遺帖)으로는 범어사에서 제자들이 편찬한 『동산대종사석영첩』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산대종사석영첩(東山大宗師錫影帖)』(범어사, 1967)
서경수, 『한국불교백년사』(성곡논총, 1972)
『한국의 사찰18―범어사』(한국불교연구원, 1979)
동산문도회 편, 『동산사상의 재조명』(대한불교조계종 금정총림 범어사, 2016)

논문

김광식, 「하동산의 불교정화」(『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김광식, 「『동산대종사 석영첩』(1967)의 발간과 의의」(『향도부산』 40,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주석
주1

일정한 교리 연구를 다 마치고 전적으로 선(禪) 수행에 들어감. 우리말샘

주2

승려들이 음력 10월 15일부터 이듬해 1월 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修道)하는 일. 우리말샘

주3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노래인 가타(伽陀)의 글귀. 네 구(句)를 한 게(偈)로, 다섯 자나 일곱 자를 한 구로 하여 한시(漢詩)처럼 짓는다. 우리말샘

주4

불교에 귀의한 사람. 우리말샘

주5

계율에 정통한 승려. 우리말샘

주6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고, 독신으로 불도를 닦는 승려. 우리말샘

주7

종파의 제일 높은 어른. 우리말샘

주8

계법(戒法)을 전하여 받은 계통. 석가모니 이후 마하가섭, 아난 등을 거쳐 현재의 수계사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9

불도에 들어가는 세 가지 요체인 계율, 선정, 지혜를 줄여 이르는 말. 계율은 몸과 입과 뜻으로 나쁜 짓을 하지 않도록 막는 것, 선정은 어지럽게 흩어진 마음을 한곳에 머물게 하는 것, 지혜는 미혹을 깨뜨리고 진리를 깨닫기 위하여 사제(四諦)나 십이 연기 또는 진여나 실상을 관(觀)하는 것이다. 우리말샘

주10

삼학(三學)의 하나. 부처가 제정한 계율을 배우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1

계(戒)를 받은 사람이 그 계율을 어기고 지키지 아니함. 우리말샘

주12

막히거나 거치는 것이 없음. 우리말샘

주13

일제 강점기에, 의학을 가르치던 전문학교. 우리말샘

주14

독립운동가(1864~1940). 법명은 진종(震鐘). 속명은 상규(相奎).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다. 저서에 ≪용성선사어록(龍城禪師語錄)≫이 있다. 우리말샘

주15

이름, 지위 따위를 세상에 높이 드러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