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무정운역훈 권3~16 ( ~)

홍무정운역훈
홍무정운역훈
언어·문자
문헌
문화재
명나라의 『홍무정운』에서 한자음을 한글로 표음하고 주석을 붙인 운서. 한글주음운서.
정의
명나라의 『홍무정운』에서 한자음을 한글로 표음하고 주석을 붙인 운서. 한글주음운서.
개설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문만이 신숙주(申叔舟)의 『보한재집(保閑齋集)』권15와 『동문선』 등에 전하여오다가, 1959년 『진단학보』 제20호에 발표된 이숭녕(李崇寧)의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연구」에 의하여, 처음으로 그 전래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편찬목적은, 첫째 정확한 중국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둘째 속음의 현실성을 불가부지한 것으로 보고 이를 표시하였으며, 셋째 『홍무정운』을 중국표준음으로 정하고자 한 것이며, 넷째 세종의 어문정책 전반에 관한 소망성취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참여한 인물은 감장자(監掌者)로 수양대군(首陽大君) · 계양군(桂陽君)이며, 편찬자는 신숙주 · 성삼문(成三問) · 조변안(曺變安) · 김증(金曾) · 손수산(孫壽山)이며, 수교자(?校者)는 노삼(魯參) · 권인(權引) · 임원준(任元濬)이다.

간행시기는 신숙주의 서문에 ‘경태육년중춘기망(景泰六年仲春旣望)’이라 하여 단종 3년(1455)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를 간행시기로 볼 수 있고, 서문 중간에 ‘범등십여고 신근반부 경팔재지구(凡謄十餘藁 辛勤反復 竟八載之久)’라 하였으므로 세종 30년(1448)경에 착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지적 사항

16권 8책, 낙질 1, 2권 1책, 현전 14권 7책. 큰 글자로 된 한글과 한자는 목활자를 사용하고 작은 글자는 갑인자로 간행되었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이 현전하는 유일판본이다.

내용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편찬한 중국음에 대한 한글주음운서로, 각 권의 표제(表題) · 운목(韻目) · 자모(字母) · 역음(譯音) · 자운(字韻) 등은 대자(大字)로 표시되어 있고, 반절(反切) · 속음(俗音) · 발음설명 · 석의(釋義) 등은 소자로 표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당초의 목적과는 달리 표준운서로서의 가치보다는 오히려 자료로서 큰 가치를 가진다. 즉, 한자음의 전통적 표시방법은 반절이나 운도(韻圖) 등에 의지하는데, 이들은 한글표기의 정확성에 미치지 못하므로 이 책의 한글표기는 아주 훌륭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홍무정운역훈연구』(정연찬, 일조각, 1972)
『동국정음연구』(유창균, 형설출판사, 1966)
「홍무정운역훈의 연구」(리숭녕, 『진단학보』 20, 195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연찬(서강대학교, 국어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