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신경리 마애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고부조의 마애불. 보물.
정의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고부조의 마애불. 보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용봉산(龍鳳山) 정상 부근에 있는 3.77m 크기의 고려시대 초기 불상이다. 일명 ‘노각시 바위’라고 불리는 바위 표면을 다듬어 불상을 새긴 것이다.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에 대한 문헌 기록이나 명문이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배경을 알 수는 없다.

내용

4m가 넘는 자연석의 한 면을 오목하게 파들어 간 다음, 여래입상을 고부조로 새긴 것이다. 마애불상의 일반적인 특징인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입체적인 모습을 이 불상에서도 볼 수 있다.

마애여래입상은 머리가 몸에 비해 큰 편이며, 넓은 어깨에 비해 상체가 약간 짧아 보이나, 전체적으로 장대한 모습이다. 얼굴의 양 볼과 턱, 드러나 있는 가슴 등에서 상당히 살찐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렇다고 종교성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도 아니다.

불상의 상호(相好: 얼굴)는 마모가 심하지만, 높고 둥근 형태의 육계(肉髻: 정수리 위에 솟아나온 부분)와 소발(素髮: 머리카락이 표현되지 않는 것)의 머리카락, 미간(眉間)의 백호(白毫: 원래 흰 털을 뜻하지만, 후대에 보석 등으로 대체됨) 구멍, 반원을 그리고 있는 눈썹, 가늘게 뜬 눈, 오뚝한 코, 살짝 다문 입, 어깨까지 닿아 있는 긴 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 부분도 마모가 심하여 삼도(三道: 세 개의 선)의 표현이 선명하진 않으나, 원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애여래입상은 오른손을 오른쪽 무릎까지 내려뜨려 법의(法衣: 불상의 옷) 자락을 잡고 있으며, 왼손은 왼쪽 겨드랑이까지 들어 올려 손바닥으로 밖으로 내보이고 있다. 보통 시무외인(施無畏印: ‘두려워하지 마라.’는 뜻의 손 자세)을 결한 불상들은 오른손을 들어 올리는 것이 상례인데, 이 불상은 왼손을 들어 올리고 있고, 오른손으로 법의 자락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설법인(說法印: 설법하는 손 자세)을 결한 듯하다. 약간 차이는 있지만, 한손으로 옷자락을 잡고 다른 손을 들어올려 손바닥을 밖으로 보이는 수인은 1962년 국보로 지정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에서 그 전통을 찾을 수 있다.

마애여래입상은 통견(通肩: 옷이 양쪽 어깨를 덮고 있는 것) 형식으로 법의를 착용하였는데, 가슴 앞부분에서부터 U자를 그리며 내려오다가 배꼽 아래부터 옷주름 선이 자유분방하게 흐트러지고 있다. 보통 이러한 형식은 U자를 그리며 갈라져 양 다리 위에서 각각 U자를 그리며 내려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법의의 옷자락 표현이 통일신라시대 8세기부터 유행하던 전통을 계승하고 있긴 하지만, 그 모습이 많이 흐트러진 것이다.

한편 가슴 앞부분에서는 약간의 입체감이 나타나지만, 배꼽 아래와 왼쪽 팔뚝을 걸치고 내려오는 법의 자락은 선각(線刻)으로 처리되어 밋밋한 느낌을 준다. 재미있는 사실은 불상의 발과 연화대좌를 별도의 돌에다 조각하여 마애여래입상의 아래쪽에 붙여 놓았다는 것이다.

마애여래입상을 둘러싸고 있는 광배(光背: 붓다의 몸에서 나온 빛의 표현)는 두 줄의 돌기로서 원형 두광(頭光: 머리 주위의 빛의 표현)과 신광(身光: 몸 주위의 빛의 표현)을 나타내었는데, 마모가 심하여 어떤 문양이 새겨져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은 오목하게 파고 들어간 마애기법과 평판적인 모습, 간략화된 선각 기법, 발과 연화 대좌를 별도의 돌로 조각하여 조합하였다는 점 등을 통하여 볼 때 고려시대 전기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의 수인이 통일신라시대 8세기의 도상을 계승하고 있지만, 표현 방법이 고려적인 특징을 지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충청남도․대전광역시』(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4)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최성은, 한길아트, 2003)
『국보』4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5)
『문화재대관』보물 중(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