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언필 ()

홍언필의 묵재집 중 권수면
홍언필의 묵재집 중 권수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미(子美)
묵재(默齋)
시호
문희(文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6년(성종 7)
사망 연도
1549년(명종 4)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우의정|좌의정|영의정
관련 사건
을사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미(子美), 호는 묵재(默齋). 동지중추원사 홍익생(洪益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군절도사 홍귀해(洪貴海)이고, 아버지는 승지 홍형(洪泂)이며, 어머니는 사예(司藝) 조충손(趙衷孫)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4년(연산군 10) 문과에 급제했으나,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로 귀양갔다가 중종반정 이후 사면되었다. 1507년(중종 2)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저작을 맡은 다음 부수찬으로 승진하였다. 1509년 부교리로 승진한 뒤 지평·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513년 장령으로 특진하고, 이어서 응교·직제학 등을 지냈다.

1519년 병조에서 참지·참의 등을 지내고, 우부승지에 재임중 기묘사화가 일어났다. 이 때 조광조(趙光祖)와 내외종간이어서 그 일파로 지목되어 옥에 갇혔다가 영의정 정광필(鄭光弼)의 변호로 풀려났다.

1524년 도승지에 오르고, 이듬 해 대사헌을 역임하면서 원악향리(元惡鄕吏)들이 외방의 공물(貢物)을 방납하는 것을 단속하였다. 그 뒤 호조참판에서 시작해 참판을 다섯 차례 역임하였다. 1529년 이조판서에 올라 재임중 인사를 공정히 처리하였다. 이어 형조판서·병조판서·호조판서·대사헌 등을 역임했는데, 특히 대사헌을 여섯 차례나 지내면서 관기를 바로잡는 데 이바지하였다.

1534년 우찬성에 올랐으나 당시의 권신 김안로(金安老)와 사이가 멀어져 남양으로 하향하였다. 1537년 김안로가 몰려나자 다시 호조판서로 임용된 뒤 우의정에 올랐다가 곧 좌의정에 이르렀다. 1545년(인종 1) 영의정이 되어 영중추부사·영경연사 등을 겸하였다.

명종이 즉위해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수렴첨정하자 윤원형(尹元衡)이 을사사화를 일으키니, 이에 가담해 추성위사홍제보익공신(推誠衛社弘濟保翼功臣) 1등에 책록되고,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몸가짐이 검소하고 화려한 것을 좋아하지 않아 청빈하기로 유명하였다. 집안 법도가 엄해 아들 홍섬(洪暹)조차 큰 옷을 입지 않고서는 만나보지 못했으며 성현들의 글을 즐겨 읽었다. 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소재일기(蘇齋日記)』
『묵재집(默齋集)』
『호음잡고(湖陰雜稿)』
『이락정집(二樂亭集)』
『기재집(企齋集)』
『해동잡록(海東雜錄)』
『죽와한어(竹窩閑語)』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