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이상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이조참의, 대사성,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서(君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9년(명종 4)
사망 연도
1615년(광해군 7)
본관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주요 관직
직제학|동부승지|이조참의|대사성|대사헌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이조참의, 대사성,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인상(麟祥). 자는 군서(君瑞) · 원례(元禮), 호는 모당(慕堂). 홍철손(洪哲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승지 홍세경(洪世敬)이고, 아버지는 부사직 홍수(洪修)이며, 어머니는 백승수(白承秀)의 딸이다.

내용

1573년(선조 6) 주1를 거쳐 1579년 주2주3로 장원급제하였다. 그 뒤 예조호조좌랑을 거쳐, 정언 · 수찬 · 지제교 · 병조 정랑 등을 두루 지낸 뒤 주4 하였다.

그 뒤 이조정랑을 거쳐, 주5에 있을 때 왕이 주6들을 선발해 주7를 교정(校正)할 때는 꼭 참여하였다. 이어 집의 · 응교를 역임하고, 태복시정(太僕寺正)이 되었다가 사간사인 등을 거쳐, 황해도안무사(黃海道安撫使)가 되었다.

1591년 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된 뒤, 다시 이조 참의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예조 참의로 옮겨 왕을 주8해 서행(西行)하였다. 그리고 곧 부제학이 되었다가 성천에 도착해 병조참의에 전임하였다.

1593년 정주에서 대사간에 임명되었고, 이듬 해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좌승지가 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 비변사와 긴밀하게 연락해 일본군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加藤淸正) 사이의 이간을 계획, 추진하기도 하였다.

1596년 형조 참판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다. 그러나 영남 유생 문경호(文景虎) 등이 성혼(成渾)을 배척하는 상소를 올리자, 성혼을 두둔하다가 안동부사로 좌천되었다. 1607년 청주목사가 되고, 1609년(광해군 1)에는 대사헌이 되었다.

1612년 이이첨(李爾瞻) · 정인홍(鄭仁弘)의 일파에게 밀려나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된 뒤 그 곳에서 죽었다. 저서로는 『모당유고』가 있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월사집(月沙集)』
『창석집(蒼石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성호문집(星湖文集)』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주석
주1

생원과 진사를 뽑던 과거. 초시와 복시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2

식년마다 보던 식년과의 시험 가운데 문과를 이르는 말. 식년과에는 식년 문과, 식년 무과, 식년 잡과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첫째 등급. 정원은 세 명으로, 일 등인 장원랑(壯元郞)은 종6품, 이 등인 방안(榜眼)과 삼 등인 탐화랑(探花郞)은 각각 정7품의 품계를 받았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유능한 젊은 문신들을 뽑아 휴가를 주어 독서당에서 공부하게 하던 일. 세종 8년(1426)에 시작하여 세조 때 없앴다가 성종 24년(1493)에 다시 실시하였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젊은 문관 가운데 뛰어난 사람을 뽑아 휴가를 주어 오로지 학업만을 닦게 하던 서재.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하여 성종 22년(1491)에 시행하였다가 정조 때 없앴다. 우리말샘

주6

홍문관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옛 성현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 놓은 책. ≪역경≫ㆍ≪서경≫ㆍ≪시경≫ㆍ≪예기≫ㆍ≪춘추≫ㆍ≪대학≫ㆍ≪논어≫ㆍ≪맹자≫ㆍ≪중용≫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주8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며 뒤따르던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