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홍제암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해인사 홍제암
합천 해인사 홍제암
불교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伽倻山)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이 입적한 암자. 해인사. 보물.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伽倻山)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이 입적한 암자. 해인사. 보물.
내용

본래 197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00년 9월 28일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海印寺)의 산내암자(山內庵子)이다.

창건연대 및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으나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입적한 곳으로 유명하다. 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여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를 세우게 하였다. 이 암자를 홍제암이라고 부르게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1614년에 혜구대사(慧球大師)가 사명대사의 진영을 봉안하기 위하여 영당(影堂)을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100여 평에 달하는 인법당(因法堂)을 비롯하여 영자각(影子閣)·요사채 등이 있다. 인법당에는 「홍제암(弘濟庵)」 편액이 걸려 있는데,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법당 내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 및 후불탱화를 봉안하고 있으며, 영자각에는 16명의 고승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이 영자각은 영조 때 사명대사의 영정을 모시고 표충사(表忠祠)라고 했으나 밀양의 표충사에도 사명대사를 모신 곳이 있다고 하여 이곳을 폐하였다고 한다.

현재 영자각에는 청허(淸虛)·사명·영규(靈圭)·하운(夏雲)·화곡(華谷)·장섭(仗涉)·송파(松坡)·평신(平信)·정월(淨月)·부환(賦還)·보응(普應)·돈암(遯庵)·모은(慕隱)·예봉(禮峰)·회은(晦隱)·해활(海活) 등의 영정이 있다. 또한 이 암자에는 1612년(광해군 4)에 허균(許筠)이 비문을 쓴 사명대사의 비가 있다. 이 비는 1943년 일본인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비문의 내용이 한국인의 민족혼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네 조각을 내어 길가에 방치하였다.

광복 후 이 비문을 명월당(明月堂)에 보관했다가 1958년에 철봉으로 속을 연결하고 파손된 부분을 석회로 때워서 현재의 위치에 세웠으며, 사명대사탑과 함께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1m, 너비 1.2m이며, 사명대사의 전기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것이다. 또 암자 뒷산에는 높이 1.8m, 둘레 3.32m의 평범한 석종형(石鐘形) 부도가 있는데, 사명대사의 부도라고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7 해인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6)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