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금청자 ()

목차
공예
개념
순청자 또는 상감청자에 금으로 표면을 장식한 청자.
목차
정의
순청자 또는 상감청자에 금으로 표면을 장식한 청자.
내용

고려 후기에 일부 수요자를 위하여 특별히 만들어진 청자의 일종이다. 화금청자의 기법은 완성된 청자의 무늬 가장자리 선을 따라 예리한 도구로 몸을 파서 흠집을 내고, 여기에 금니(金泥)로 메워 화려하게 하는 것이다.

중국 조소(曺紹)의 ≪격고요론 格古要論≫에 따르면, “금화정요완(金花定窯碗)은 마늘즙을 내어 여기에다 금가루를 개어서 그림을 그린 뒤 가마에 넣어 번조한 것이며 다시는 영영 떨어지지 아니한다.”라는 기록이 있어, 고려의 화금청자도 중국의 금화정요완과 같은 수법이었거나 아니면 또 다른 강력접착제를 사용하여 금가루를 섞어 사용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화금청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전반에 걸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 열전 권18 조인규전(趙仁規傳)에는 조인규가 원나라의 사신으로 갔을 때 원나라 세조와 화금청자에 관하여 나눈 대화 내용이 있다.

즉 “인규가 일찍이 화금자기를 바쳤더니 원나라 세조가 ‘화금은 그릇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냐.’ 하고 물으니 인규가 대답하기를 ‘단지 설채할 뿐이다.’라 하였다.

세조가 다시 묻기를 ‘그 금은 다시 쓸 수 있으냐.’ 하니, 인규가 대답하기를 ‘자기는 깨지기 쉬운 것이며 자기가 깨지면 따라서 금도 떨어지고 마니 어찌 다시 쓸 수 있겠는가.’ 하였더니 세조가 그 대답을 ‘훌륭하다.’ 하고 이후로는 ‘자기에 화금하지 말고 진헌하지 말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볼 때 고려가 원나라의 부마국일 때 일부 수요자에게 공급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조인규가 1227년(고종 14)부터 1308년(충렬왕 34)까지 생존하고 원나라 세조는 1260년부터 1293년까지 재위한 것으로 보아, 화금청자의 제작은 13세기 말엽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고려사≫ 세가 권31 충렬왕 23년 정월 임오조에 “정월임오에 낭장 황서(黃瑞)를 원나라에 보내어 금화옹기를 바쳤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1297년의 일을 기록한 것이다.

화금청자는 금니를 사용한 표면장식의 특수한 기법이었다는 점 외에도 13세기 말엽 도자공예의 변화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테면 주둥이가 넓은 편병의 등장, 두꺼운 기벽, 담청색의 유색, 잔 무늬로 가득 메워지는 초화무늬의 양상, 능화형(菱花形 : 마름꽃모양) 안에 무늬를 넣는 새로운 포치법 등 고려 도자공예의 새로운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원나라와의 관계에서 새로운 문화가 유입된 영향임에 틀림이 없다.

화금청자의 예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청자상감화금수하원무늬편병과 화금청자모란당초무늬대접, 그리고 일본 개인 소장의 화금청자매월쌍봉무늬대접 등이 있다.

참고문헌

「화금청자(畵金靑瓷)와 향각(香閣)」(고유섭, 『한국미술문화사논총』, 통문관, 1966)
집필자
강경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