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방사 ()

목차
관련 정보
남해 화방사 대웅전 정측면
남해 화방사 대웅전 정측면
불교
유적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망운산(望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연죽사(煙竹寺), 영장사(靈藏寺)
목차
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망운산(望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이다.

신라 신문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고 연죽사(煙竹寺)라 하였던 것을 고려 중기에 진각국사(眞覺國師)가 현재의 위치 가까이로 옮겨서 중창하고 영장사(靈藏寺)라고 하였다. 임진왜란 때 왜병에 의하여 불타버렸고, 1636년(인조 14) 계원(戒元)과 영철(靈哲)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창하고 화방사라 하였다. 그 뒤 영조와 정조 때의 고승인 가직(嘉直)이 머물면서 갖가지 이적(異蹟)을 남겼고, 절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인 보광전(普光殿)을 비롯하여 1985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채진루(採眞樓)와 승당(僧堂)·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보광전은 정면 3칸의 건물로서 1636년의 옮길 때 중수하였다. 내부구조와 조각이 조선시대 법당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건물이다.

유물로는 옥종자(玉宗子)와 금고(金鼓), 그리고 2,000자로 된 이충무공비문목판(李忠武公碑文木版) 등이 있다. 이 중 옥종자는 사찰이 건립되어 불상을 봉안할 때 불을 밝히는 옥돌로 만든 등잔이다. 한 번 불을 붙이면 깨뜨려서는 안 되고,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불이 꺼지면 다시 불을 붙여서는 안 된다. 이 옥종자는 1234년(고종 21) 이전에 만들어져 불이 점화된 뒤 임진왜란 때 꺼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다. 지름 24㎝, 높이 12㎝, 두께 2㎝, 무게 3.9㎏, 용량은 3ℓ이다. 또, 금고는 조선 중기의 작품으로 지름 70㎝, 너비 10㎝, 두께 1㎝이며, 표면 사방에 범자(梵字)를 양각하였다.

이 절은 용문사·보리암과 함께 남해군의 3대사찰 중 하나이며, 절 주위에는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산닥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6)
『사향록』(향토문화연구회, 1973)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