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계지부자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음인의 망양증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음인의 망양증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망양증(亡陽症)은 땀을 통하여 수분이 과다하게 배출됨으로써 양기가 약화된 병증이며,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소음인신수열표열병론(少陰人腎受熱表熱病論)에 이 처방에 관한 내용이 있다.

처방의 구성은 황기 · 주1 각 11.5g, 백작약 7.5g, 당귀(當歸) · 감초 각 3.75g, 부자포(附子炮) 3.75∼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주2주3에 있는 계지탕(桂枝湯)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천(李梴)이 『의학입문(醫學入門)』에서 부자를 첨가하여 계지부자탕을 만들었고, 이제마가 여기에 황기 · 당귀 · 부자를 첨가하여 이 처방을 만들었다.

계지탕은 오한발열에 자한(自汗)하는 증세가 겸한 병을 치료하는 약이다. 이러한 증상은 피부의 모공에 수렴하는 힘이 부족한 틈을 타고 주4주5주6에 들어와 생기는 것이므로 보심(補心) · 생혈(生血) · 산풍(散風)하는 계지로 주7을 삼고, 사간화(瀉肝火)하고 안비폐(安脾肺)하면서 영기(營氣)를 도와주는 백작약 등을 사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킨다. 그리고 감초 · 생강 · 대추를 첨가하여 주8의 기능을 보살펴 주면서 해울산한(解鬱散寒)하고 진액을 보충하도록 한 것이다.

망양증에 대한 치료는 이천이 계지탕에 부자를 첨가하여 계지부자탕을 만들어서 그 기초를 성립하였다. 즉, 발한이 심한 상태에서 계지탕으로는 그 작용이 부족하므로 약화되는 양기를 회복시키고, 안으로 부족한 음기를 보충함으로써 음양(陰陽)을 구제할 수 있는 부자를 첨가한 것이다.

여기에서 진일보하여 이제마는 소음인이 가지는 체질적 결함을 감안하여 보폐기(補肺氣)하고 온분육(溫分肉)하는 황기와 조영위(調營衛)하면서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계지로 군약을 삼고, 당귀를 추가하여 양기가 의지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듦으로써 치료에 만전을 기한 것이다.

즉, 계지탕은 망양으로 발전할 수 있는 태양증(太陽症)을 치료하는 약이고, 계지부자탕은 망양초증(亡陽初症)을 치료하는 약이며 이 황기계지부자탕은 망양중증(亡陽重症)을 치료하는 약인 것이다. 망양을 치료하는 처방에는 이 밖에도 인삼계지부자탕(人蔘桂枝附子湯) · 승양익기부자탕(升陽益氣附子湯) · 인삼관계부자탕(人蔘官桂附子湯) 등이 있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사상의학원론(四象醫學原論)』(홍순용·이을호, 행림출판, 1983)
주석
주1

육계나무 또는 기타 동속 근연 식물의 어린 가지를 말린 생약. 특이한 향기가 있고 껍질 부분은 더욱 진하며 약성은 맵고 달며 따듯하다. 정균 작용, 이뇨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초기 감기, 어깨와 등의 통증, 사지 관절의 동통에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2

중국 후한의 의사(醫師)(?~?). 이름은 기(機). 중경은 자(字). 장사 태수(長沙太守)를 지냈으며, 장백조(張伯祖)에게 의술을 배워 대성하였다. 저서에 ≪상한론≫, ≪금궤옥함요략(金匱玉函要略)≫이 있다. 우리말샘

주3

중국 후한 때에, 장중경이 지은 의학서. 동양 의학의 원전(原典) 가운데 하나로, 주로 급성 발열성 질환의 치료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우리말샘

주4

풍사(風邪)와 한사(寒邪)가 겹친 것. 일반적으로 오싹오싹 추우면서 열이 나고 온몸이 쑤시는 증상이 있다. 우리말샘

주5

대장에 속하고 폐에 이어지는 경맥. 우리말샘

주6

방광(膀胱)에 속하고 콩팥에 이어진 경맥. 우리말샘

주7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8

지라와 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