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 ()

황진 묘
황진 묘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훈련원판관, 익산군수,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명보(明甫)
시호
무민(武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0년(명종 5)
사망 연도
1593년(선조 26)
본관
장수(長水)
주요 관직
훈련원판관|익산군수|충청도병마절도사
정의
조선시대 훈련원판관, 익산군수, 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명보(明甫). 황희(黃喜)의 5대손이며, 지중추부사 황사효(黃事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직 황개(黃塏)이고, 아버지는 증좌의정 황윤공(黃允恭)이며, 어머니는 방씨(房氏)로 봉사 방응성(房應星)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6년(선조 9)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그 뒤 거산도찰방에 기용되고 안원보권관(安原堡權管)을 역임하였다. 이어 다시 선전관이 되어 통신사 황윤길(黃允吉) 일행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그 뒤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를 거쳐, 동복현감에 임명되었다. 이후 장차 있을 왜란에 대비해 무예의 단련에 열중하였다. 일본을 시찰하고 돌아온 뒤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는 황윤길의 예상과 뜻을 같이하게 되면서 이에 대한 준비를 하였던 것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을 따라 군대를 이끌고 용인에서 왜군과 대적했으나 패하였다. 이 후 남하하다가 진안에 침입한 왜적 선봉장을 사살하고 이어 안덕원(安德院)에 침입한 적을 격퇴하였다. 그리고 훈련원판관으로 이현전투(梨峴戰鬪)에 참가해 왜적을 격퇴하였다. 이 공으로 익산군수로 충청도조방장을 겸하였다.

1593년 2월 전라병사 선거이(宣居怡)를 따라 수원에서 왜군을 맞아 싸웠다. 3월에는 충청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진(陣)을 안성으로 옮겼다. 여기서 군대를 훈련시키고 대오를 정비해 죽산성에 있는 적과 대치하였다. 이 때 적장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正則)가 안산성을 탈취하고자 죽산부성(竹山府城)을 나와 안성으로 진군하였다. 이에 군사를 이끌고 왜군에 접전해 죽산성을 점령했으며, 퇴각하는 왜군을 상주까지 추격해 대파하였다.

그 뒤 6월 적의 대군이 진주를 공략하자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병마절도사 최경회(崔慶會)와 함께 진주성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성을 굳게 지키며 9일간이나 용전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뒤에 좌찬성에 추증되고, 진주의 창렬사(彰烈祠), 남원의 민충사(愍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송자대전(宋子大全)』
『포저집(浦渚集)』
『계곡집(谿谷集)』
『청음집(淸陰集)』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징비록(懲毖錄)』
『임진전란사』(이경석, 신현실사,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송정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