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명 ()

목차
국악
작품
조선 세종 때 회례악으로 창작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 중 아홉 번째 곡.
목차
정의
조선 세종 때 회례악으로 창작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 중 아홉 번째 곡.
내용

노래말은 4언 12구의 한시로 신우(辛禑)가 요동을 쳐서 명나라를 침범하므로 태조가 대의를 앞세워 군사를 돌린 것을 노래한 것이다.

남려궁(南呂宮) 계면조(界面調)의 5음음계이다. 박(拍)은 노래말 1구에 한 번씩 들어가고 악보로는 한 행에 두 번씩 나타난다. 즉, 12박 6행(行)으로 되어 있다. 장구형은 고(鼓)·편(鞭)·쌍(雙)으로 이러한 장구형은 「개안(凱安)」·「화태(和泰)」·「영관(永觀)」,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의인(依仁)」·「형광(亨光)」·「보예(保乂)」·「융화(隆化)」·「역성(繹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속악인 평조의 「청산별곡」을 계면조로 고쳐 만든 곡인데, 10박으로 된 「청산별곡」을 12박으로 늘렸으며, 「청산별곡」의 첫 음 하일(下一)을 궁(宮)으로 고쳐, 마치 중국음악처럼 궁이나 하오(下五)로 시종하는 격식에 맞추려고 하였다.

악보 제3행의 첫머리음도 「청산별곡」의 하일에서 궁으로 고친 것이다. 제12박 끝은 「청산별곡」의 종지형의 리듬을 고친 것인데, 이는 「휴명」의 우수박에서는 모두 끝음이 8정간으로 되었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종지형의 끝음도 3정간에서 8정간으로 늘린 것이다.

대개 향악의 경우에서와 같이 「청산별곡」의 박은 1정간에 나오는데, 「휴명」에서는 1구 최종음에 나온다는 점이다. 장구형 또한 「청산별곡」의 고·요(搖)·편·쌍을 네번 변주시킨 것이다. 악보는 『세종실록』악보에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이혜구, 「휴명과 청산별곡의 비교」,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집필자
변미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