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중랑장, 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이칭
이칭
태도수(太道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중랑장|장군
관련 사건
거란 제1차 침입|거란 제2차 침입
정의
고려전기 중랑장, 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일설에 의하면, 발해의 마지막 임금이었던 제15대 대인선(大諲譔)의 왕자 대광현(大光顯)의 아들이거나 손자라고 한다. 협계태씨(陜溪太氏)·영순태씨(永順太氏)·밀양대씨(密陽大氏) 족보에서는 대광현의 아들로 되어 있다. 대도수의 아들은 대형인(大亨仁)이며, 손자는 대홍윤(大洪允)이라고 전한다.

생애 및 활동사항

대도수는 거란의 침입 때 지휘관으로서 활약하였다. 993년(성종 12) 10월 거란 장수 소손녕(蕭遜寧)이 고려의 항복을 종용하면서 안융진(安戎鎭)을 공격하여 청천강 이남으로 진격하고자 했다. 이때 중랑장(中郞將) 대도수는 낭장 유방(庾方)과 더불어 안융진전투에서 승리하여 거란 군사의 전진을 차단하였다. 이는 곧 서희와 소손녕의 외교담판에서 고려의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었던 계기로 작용하였다.

거란 성종이 친정(親征)하였던 제2차 침입(1010∼1011, 현종 1∼2) 때 대도수는 장군(將軍)의 반열에 올랐다. 1010년 12월 대도수는 서경성을 사이에 두고 거란군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이때 장군 대도수는 동·서의 성문을 열고 나가 거란군을 협공하자고 속이면서 몰래 홀로 도주하였던 탁사정(卓思政)의 간계에 넘어가 중과부적으로 거란군에게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 그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 거란 전쟁』(안주섭, 경인문화사, 2003)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외교적 성격」(구산우, 『역사와 경계』74, 2010)
「고려 현종대 거란과의 전쟁과 지배체제」(이정훈, 『한국중세사연구』29, 2010)
「거란 성종의 고려침략과 동북아세아 국제정세의 변추(상)」(김재만, 『대동문화연구』27, 1992)
집필자
신안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