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서원 ()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에 있는 조선후기 정언신 등 5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705050000
지정기관
경상북도
명칭
소양서원
원어
瀟陽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505호
지정일
2006년 06월 15일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경도
128.021812918553
위도
36.6128409178064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705050000
해제여부
N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에 있는 조선후기 정언신 등 5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문화재자료.
개설

1712년(숙종 38)에 정언신(鄭彦信, 1527∼1591), 남영(南嶸, 1548∼1616), 심대부(沈大孚, 1586∼1657), 김낙춘(金樂春, 1525∼1586), 이심(李襑, 1598∼1657) 등 5현을 제향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1745년(영조 21)에 훼철되었다가 1801년(순조 1)에 복설되었다. 1871년(고종 8)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다시 훼철되었으나 1990년에 복원되었다.

역사적 변천

소양서원은 16세기 가은 인근 지역에서 출생하여 중앙에서 관직생활을 하다가 만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지역사회에서 활동한 5인을 제향한 서원이다. 정언신을 주향, 김낙춘·심대부·이심을 배향으로 모시고, 남영은 후대에 추배하였다. 영조대에 이 서원에 제향된 정언신이 정여립의 당이라는 이유로 조정에서 철향 대상으로 논란이 되다가 결국 1745년에 훼철되었다. 이후 복설과 훼철을 거듭하다 1990년 복원되어 현재까지 매년 음력 9월 상정일에 향사를 봉행하고 있다. 2006년 6월 15일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내용

정언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부제학, 함경도관찰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589년 우의정이 되었으나 정여립의 일파로 모함을 받아 남해, 갑산에 유배되어 사망하였다. 1599년에 복관되었다. 남영은 본관이 의령으로 유성룡, 이정귀의 천거에 의해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에 제수되고,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심대부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이며 한강 정구의 문인이다. 1613년(광해군 5) 진사, 1633년 문과에 급제하여 송화현감, 경상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649년에 인조가 죽자 사간으로서 유계(兪棨) 등과 조(祖) 자의 묘호를 반대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회양으로 귀양갔다가 1657년에 풀려났으며, 사후 신원되었다. 김낙춘은 본관이 순천이며, 이황의 문인이다. 1545년(인종 1)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재상 이준경이 천거하였으나 끝내 사양하고 문경으로 이거하여 소양동(瀟陽洞)에 영류정(暎流亭)을 짓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이심은 본관이 연안, 호는 가은(稼隱)으로 감사 이창정(李昌庭)의 아들이다. 광해조에 세상이 크게 어지러운 것을 보고 몸을 깨끗이 하고 스스로를 지켰다. 과거 보기를 그만두고 가족을 이끌고 안동 송치로 이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후학 교육에 평생 종사하였다.

현존하는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 강당, 동재가 있으며, 서원의 동쪽으로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의 한류정(暵流亭)과 정면 3칸, 측면2칸 규모의 존승재(尊承齋)가 별도의 일곽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심대부를 봉안할 때의 봉안문과 축문은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가 지었다.

참고문헌

『교남지(嶠南誌)』
『담헌서(湛軒書)』
『동국원우록(東國院宇錄)』
『식산집(息山集)』
『조두록(俎豆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경북서원지』(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경상북도, 2007)
유교넷(www.ugyo.net)
집필자
김자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