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흥무관학교 훈련감, 대한독립군단 중대장, 대한통의부 의용군 사령장, 한국독립군 총사령대리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추당(秋堂)
이칭
김석주(金錫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2년(고종 9)
사망 연도
1937년
출생지
서울
내용 요약

김창환은 일제강점기 신흥무관학교 훈련감, 대한독립군단 대대장, 대한국독립군 총사령 대리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1872년(고종 9)에 태어나 1937년에 사망했다. 별명은 김석주이다. 1899년 대한제국 육군에 입대하였다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신민회에 가입하였다. 독립운동의 해외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만주로 건너가 개척사업을 추진하면서 청년교육을 위해 신흥학교를 설립하였다. 105인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출옥한 후,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에서 독립투사를 양성하였다. 이후 대한독립군단, 대한통의부, 한국독립당, 민족혁명당 등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흥무관학교 훈련감, 대한독립군단 중대장, 대한통의부 의용군 사령장, 한국독립군 총사령대리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별명은 김석주(金錫柱), 호는 추당(秋堂). 서울 출신. 아버지는 김계현(金啓鉉)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한문을 배웠다. 1899년(광무 3) 대한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1905년에는 부위(副尉)로 복무하다가 그 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신민회에 가입하여 국권회복에 노력하였다.

1909년 12월 일진회가 고종과 통감(統監), 그리고 총리에게 합방상주문(合邦上奏文)과 한일합방청원서(韓日合邦請願書)를 제출하는 등 매국 행위를 자행하자, 배동현(裵東鉉) · 이승규(李昇圭) · 오상근(吳祥根) 등과 함께 일진회를 성토하는 글을 발표하여 국민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독립운동의 해외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만주로 건너가 이철영(李哲榮) · 이회영(李會榮) · 이시영(李始榮) · 이상룡(李相龍) · 이동녕(李東寧) · 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봉천성(奉天省) 유하현(柳河縣) 주1에서 개척 사업을 벌이는 한편, 청년 교육을 위해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였다.

1911년 국내에 잠입하였다가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일본 경찰에 붙잡혀 악형을 당하였으며, 출옥 후에는 배재학교 등에서 체육 교육을 담당하면서 독립 사상을 고취시키다가 다시 만주로 망명하였다.

이 무렵 흉년 등으로 동포들이 흩어져 폐교 직전에 이른 신흥학교를 윤기섭(尹琦燮)과 함께 근근이 이어갔다. 그 뒤 지청천(池靑天) · 김광서(金光瑞) · 신팔균(申八均) · 이범석(李範奭) 등과 함께 이시영을 중심으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로 확대, 개편하고, 훈련감(訓練監)을 맡아 많은 독립 투사를 배출시켰다.

1920년 12월 각지의 독립군이 통합되어 편성된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의 중대장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1921년 여단장 지청천과 함께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군대를 이끌고 호림(虎林)에서 이만시(市)로 향하던 중, 일본 수비대의 공격을 받고 두 시간의 혈전을 벌인 끝에 일본 수비대를 궤멸시켜 많은 무기를 주2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만시에 다시 만주로 돌아온 뒤에 1922년 8월 남만주의 여러 독립운동 단체가 통합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조직되자, 대한통의부 의용군(義勇軍)의 사령장으로 임명되어 항일 투쟁을 지휘했다. 그리고 1923년 1월 상해에서 열린 국민대표자대회에 통의부 대표로 참가하기도 했다.

1930년 항일 독립운동 유일당인 한국독립당이 조직되고 소속 군대인 한국독립군이 편성되자, 부사령으로 총사령인 지청천을 도와 많은 전과를 올렸다.

1932년 3월 한국독립군 총사령대리로 추대되었고, 그 해 9월 중국군 고봉림부대(考鳳林部隊)와 연합하여 쌍성보(雙城堡)를 공략하여 많은 물자를 노획하였다.

1935년 한국독립당 · 신한독립당(新韓獨立黨) ·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등이 통합하여 조직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의 주요 간부로서 김규식 · 양기탁(梁起鐸) · 지청천 · 신익희(申翼熙) 등과 같이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7년 현익철(玄益哲) · 양기탁 · 이복원(李復源) 등과 같이 전당비상대표대회(全黨非常代表大會)를 열어, 한국민족혁명당을 조직하고 적색 분자를 숙청하는 운동을 벌여 나갔는데, 그 뒤 조선혁명당으로 개칭하고 적극적인 항일 독립운동을 추진하다가 과로로 죽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한국독립운동사』 5(국사편찬위원회, 1969)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주석
주1

국권 강탈 이후에, 이시영ㆍ이상룡(李相龍) 등이 무장 독립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간도에 설치한 기관. 주로 근대적 민족 교육과 군사 훈련에 주력하였다. 우리말샘

주2

싸워서 적의 물품을 빼앗음. 우리말샘

집필자
김광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