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볕

땡볕 / 김유정
땡볕 / 김유정
현대문학
작품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정의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작가가 작고하기 한 달 전인 1937년 2월 『여성(女性)』 11호에 발표되었다. 김유정 특유의 토속적 언어를 구사하는 문체와 씁쓸한 웃음을 유발시키는 쓰라린 가난과 선량한 무지, 그리고 간결한 구성의 소설미학이 돋보이는 대표작이다.

내용

중복 허리의 뜨거운 땡볕 아래 덕순이는 누렇게 시든 병든 아내를 지게에 지고 대학병원을 찾아가는 길이다. 무료진찰권을 내고 행여 아내의 병이 진기한 병이어서, 그저 연구거리가 되어 월급을 타며 병을 고치리라는 일념으로 기대에 차 있다. 길가 버들 밑에 쉬면서 병원에 가면 째자고 할까봐 눈물짓는 아내를 타박하지만, 쌈지에 든 4전으로 노전에 벌여놓은 채미(참외)나 사서 먹일까 망설이기도 한다.

산부인과 문 밖에서 요량 없이 부어오른 아랫배를 걷어 안고 가쁜 숨에 괴로워하는 아내를 바라보며 두 시간이나 보낸 끝에 진찰실로 불려들어 갔으나, 연구거리로 월급을 받으리라는 기대가 무색하게 뱃속에서 사산한 아이를 수술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는 선고를 받는다.

아내는 아내대로 배는 쨀 수 없다며 기급하고, 아내를 들쳐 업고 돌아서는 지게는 오던 때보다 갑절이나 무겁다. 올 때 쉬던 나무그늘에서 땀을 들이면서 아내에게 채미 대신 얼음냉수며 주1을 얻어먹인다. 왜떡을 깨물던 아내는 사촌형님에게 꾸어온 쌀 두 되를 갚으라느니 빨래는 영근 어머니에게 부탁하라느니 차근차근 이르며 울먹거렸다. 필연 아내의 유언이라 깨달은 덕순은 아내를 도로 지고 일어서며, 얼른 갖다 눕히고 죽이라도 한 그릇 더 얻어다 먹이는 것이 남편의 도리일 것이라 생각한다.

의의와 평가

삶의 비참함을 미처 깨닫기도 전에 현실을 체념하고 마는 덕순이나 덕순이의 아내와 같은 바보 인간상들에 대해 눈물 이전에 어두운 웃음을 삼키게 하는 작가의 주2 어법은, 이 작품에서도 작가의 소설미학으로 충분히 구사되고 있다.

식민지치하의 농촌의 궁핍화 및 이농과 도시빈민의 궁핍화현상을 희화함으로써 역사의식을 구현하지 못했다는 비난은, 오히려 이러한 역설적 해학이 갖춰준 시점상의 거리가 우회되기 이전의 삶의 진실을 표명한다는 점에서 면제될 수도 있다. 특히, 이 작품은 병원을 찾아가는 길과 돌아오는 길의 대립과 간결한 구성을 통하여 범속한 일상인들에도 못 미치는 무지한 인간상을 토착화한 주3 기법으로 표현한 수작이다.

참고문헌

『한국단편소설연구』(이재선, 일주각, 1975)
「김유정연구」(김영화, 『고려대학교어문논집』16, 1975)
「김유정소설의 미학」(구인환, 『양주동박사고희기념논문집』, 1973)
주석
주1

밀가루나 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늘여서 구운 과자. 우리말샘

주2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와 반대되게 말을 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3

문학이나 예술에서 현실이나 사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표현하려는 태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서연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