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만복사지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규모가 비교적 클 뿐 아니라 제작 시기를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 조각사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불신(佛身)과 광배(光背)는 하나의 석재로 만들었다. 움츠린 듯한 양어깨는 좁고 하체가 다소 빈약한 편이다.

내용

통견식(通肩式)으로 걸친 대의(大衣)는 불신에 달라붙어서 몸의 굴곡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옷주름이 다리에서 둘로 갈라지는 이른바 우다야나식(Udyana式) 착의법의 표현은 인도 굽타기(Gupta期) 조각에서 영향을 받은 통일신라의 불상들과 서로 비교된다.

머리는 소발(素髮)이고 육계(肉髻)가 있으며 이마에는 백호공(白毫孔)이 새겨졌다. 눈과 코는 손상되었다. 인상에서 주는 부드러운 느낌과 얼굴의 풍만감은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도 친연성이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고 양손은 결실되었다. 원래는 손을 따로 만들어 손목에 끼웠을 것으로 보이는데,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與願印)의 통인(通印)을 짓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舟形擧身光)으로 윗부분이 깨졌지만 두광(頭光)과 신광(身光) 안에 새겨진 연꽃 줄기가 선명하고, 외연부는 화염문과 화불(化佛)이 조각되었다.

이 조각은 형식화된 옷주름이나 대칭적인 불의의 양 깃, 넓게 열린 편평한 가슴과 신체 등의 어색한 표현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노출하고 있다. 하지만 불상 규모나 기법 면에서 당시의 조각으로는 뛰어난 작품이다. 현재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 및 석조대좌와 함께 만복사 창건 당시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만복사』(전북대학교박물관, 1986)
『문화재대관』5 보물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