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귀쟁이 설화 (방귀쟁이)

구비문학
개념
방귀를 소재로 한 설화.
내용 요약

「방귀쟁이 설화」는 방귀를 소재로 한 설화이다.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는 이 설화는 소화에 속하며, ① 방귀 시합, ②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 ③ 도둑 쫓은 방귀쟁이 등의 유형으로 나뉜다. 「방귀 시합」, 「방귀쟁이 며느리」는 여성 거인 신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방귀쟁이 설화」에는 남성과 여성의 대결 구도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대결 양상에 따라 「방귀 시합」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는 초기의 과정에서, 「방귀쟁이 며느리」는 가부장 제도가 확립된 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정의
방귀를 소재로 한 설화.
전승 및 채록

방귀는 자연스러운 생리적 현상이므로 누구나 일상에서 체험할 수 있고, 방귀의 세기, 소리, 냄새에 따라 그 양상이 다양하여 웃음을 유발하기에 적절한 소재가 된다. 「방귀쟁이 설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전승되며, 아르네-톰슨(Aarne-Thompson) 유형의 AT 1453(Fart girl, 방귀 소녀)에 해당한다. 한국에서도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며,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약 100편의 설화가 채록되었다.

내용

「방귀쟁이 설화」는 방귀의 위력이나 세기를 과장하여 웃음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소화(笑話)에 속하며, 과장담의 성격이 있다. ① 방귀 시합, ②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 ③ 도둑 쫓은 방귀쟁이 등의 유형으로 나뉜다.

① 「방귀 시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랫녘 방귀쟁이(남성)와 윗녘 방귀쟁이(여성)가 시합하게 되었다. 서로 방귀를 뀌어 주6(또는 주7 · 주8)가 날아갔다가 날아왔다가 하였다. 서로의 방귀 세기가 비슷하여 결국 승부가 나지 않자, 절굿공이가 떨어져 몽숭어(또는 방아 고기 · 가오리)가 되었다. 두 방귀쟁이는 경상도와 전라도, 서울과 시골의 지역 대결로 나타나기도 하며, 동성보다는 이성 간의 대결이 많다. 대부분 남성이 여성에게 먼저 대결하자고 도전하며, 도전할 때 시합할 사람이 없자 방귀를 뀌어 아이가 굴뚝으로 날아가기도 한다. 승부가 나는 경우는 대부분 여성 방귀쟁이의 실력이 뛰어나 남성에게 이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과 여성이 각각 홀아비 · 홀어미일 때는 부부가 되기도 한다.

② 「방귀쟁이 며느리」는 시집간 며느리가 방귀를 뀔 수 없게 되자 얼굴이 노랗게 된다. 걱정스러운 시아버지가 그 이유를 묻고 방귀를 뀌라고 허락한다. 며느리가 방귀를 뀌자, 집이 흔들리고 가족들이 날아가게 된다. 며느리는 친정으로 쫓겨 가게 되는데 시아버지가 함께 나섰다. 가는 도중 비단 장수, 유기 장수(또는 삼베 장수, 주9, 주11 장수)를 만나 손 안 대고 배 따기 내기를 걸었는데, 며느리가 방귀로 배를 많이 떨어뜨려 유기와 비단을 얻게 된다. 이에 시아버지가 방귀도 쓸모가 있음을 깨닫고 며느리를 도로 집으로 데려간다.

③ 「도둑 쫓은 방귀쟁이」는 방귀쟁이가 방귀를 막으려고 항문에 꽂아 둔 가지(또는 무 · 호박 꼭지)가 터져 나오면서 큰 소리가 나자, 집 안으로 들어오던 도둑이 놀라 도망갔다는 이야기이다.

④ 이 밖에도 방귀를 뀐 것을 감추려다가 창피를 당한다는 단편적인 이야기가 다양하게 관찰된다. 새신부 또는 새 며느리가 주인공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새신부가 방귀를 뀌고 쫓겨나 아들을 낳았다. 아들은 아버지를 찾아가 “방귀를 뀌지 않는 사람은 아침에 심으면 저녁에 따서 먹을 수 있는 오이를 사라.”라고 하며, 어머니에게 죄가 없다고 말한다. 아들의 중재로 아버지와 어머니는 함께 살게 된다. 또 다른 이야기도 있다. 혼인날 신부가 시아버지 앞에서 방귀를 뀌자, 유모가 나서서 자기가 방귀를 뀌었다고 하였다. 시아버지가 유모를 기특하게 보며 유모에게 상을 주니, 신부가 “방귀는 내가 뀌었는데 상은 왜 유모가 받느냐”라고 따졌다는 내용도 있다.

의의 및 평가

「방귀쟁이 설화」는 대부분 여성이 주인공으로 나타난다. 특히 「방귀 시합」, 「방귀쟁이 며느리」는 여성 신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방귀 시합」에서 방귀로 날아간 절굿공이(방앗공이 · 절구통)가 물고기 또는 섬이나 바위 같은 지형이 되는 것, 그리고 「방귀쟁이 며느리」에서 며느리의 방귀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얻는 것은 모두 방귀의 생산력을 의미하므로, 여성의 방귀가 지형을 창조하는 여성 거인 신화의 배설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보는 것이다.

한편 남성과 여성의 대결 구도와 관련하여, 「방귀 시합」에서는 남성의 도전으로 대결이 이루어지며 여성 방귀쟁이의 실력이 우월하다고 나온다. 이러한 점에서 「방귀 시합」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는 초기의 과정에서 형성된 이야기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리고 「방귀쟁이 며느리」는 가부장 제도가 확립된 이후 생성된 것으로, 종속된 지위에 있는 여성의 현실과 대응을 드러낸다고 이해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1947)
임동권, 『한국의 민담』(서문당,1972)
이주홍, 『한국풍류담집』(성문각,1972)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1988)

논문

김복순, 「방귀담의 신화성과 구조적 변이양상」(『어문연구』 3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노영근,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신화적 성격」(『구비문학연구』 16, 한국구비문학회, 2003.)
황인덕, 「한국 방귀 소화의 유형, 묘미, 의미」(『비교민속학』 14, 비교민속학회, 1997.)
주석
주1

세상에 널리 퍼뜨리거나 알림. 우리말샘

주2

필요한 자료를 찾아 모아서 적거나 녹음함. 또는 그런 기록이나 녹음. 우리말샘

주3

우스운 이야기를 함. 또는 그 이야기. 우리말샘

주4

전통 설화 유형의 하나. 현실 세계에 바탕을 두면서도 성격이나 행동 따위를 극도로 부풀려서 표현함으로써 교훈성보다는 웃음과 재미를 강조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우리말샘

주5

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 나무, 돌, 쇠 따위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6

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 나무, 돌, 쇠 따위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7

방아확 속에 든 물건을 찧는 데 쓰도록 만든 길쭉한 몽둥이. 우리말샘

주8

‘절구’를 절굿공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집집을 찾아다니며 끈목, 담배쌈지, 바늘, 실 따위의 자질구레한 일용 잡화를 파는 사람. 우리말샘

주10

삼실로 짠 천. 우리말샘

주11

안쪽에 여러 줄로 고랑이 지게 돌려 파서 만든 함지박. 쌀 따위를 씻어 일 때에 돌과 모래를 가라앉게 한다. 우리말샘

주12

놋쇠로 만든 그릇. 우리말샘

주13

남의 아이에게 그 어머니 대신 젖을 먹여 주는 여자. 우리말샘

주14

봉건 사회의 가부장제와 같은.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5

가부장이 가족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는 가족 형태. 또는 그런 지배 형태. 우리말샘

주16

사회 집단에 있어서 사상, 행동, 생활 방법을 근본적으로 제약하고 있는 관념이나 신조의 체계. 역사적ㆍ사회적 입장을 반영한 사상과 의식의 체계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