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산성 ()

목차
관련 정보
피현 백마산성 성벽
피현 백마산성 성벽
건축
유적
북한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전기 이후 내성과 조선후기의 외성으로 구성된 석축 성곽. 산성.
목차
정의
북한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전기 이후 내성과 조선후기의 외성으로 구성된 석축 성곽. 산성.
내용

현재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산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졌으며, 고구려때에 쌓은 우마성벽도 일부 남아 있다.

우마성의 성벽은 백마산의 가장 높은 곳에 고구려 축성방법으로 쌓았는데 성벽 밑부분에는 계란모양의 굽도리를 조성하고 방추형 성돌의 이음새를 잘 맞추어 쌓았다.

내성은 고려 현종 때 강감찬(姜邯贊)이 쌓은 것으로, 1646년(인조 24) 부윤 임경업(林慶業)이 다시 쌓았는데 서남쪽으로 지형이 매우 험하다. 내성의 둘레는 2,590m이다.

당시의 둘레는 2,600 보(步), 높이 2장(丈)으로 옹성(甕城) 7개, 치각(雉閣) 7개, 문 5개, 군포(軍舖) 30, 정(井) 32, 지(池)가 13군데 있었다.

또한 성내에는 동창(東倉)과 읍창(邑倉)이 있고, 양무고(養武庫)와 결승정(決勝亭)이 있었다.

외성(外城)은 1753년(영조 29) 부윤 남태기(南泰耆)가 처음으로 돌로 쌓았는데 동서북 3면이 낮고 평평하다.

둘레 2,103보, 높이 2장, 치각 4개, 문 3개, 장대(將臺) 1, 군포 10, 우물 3군데가 있고, 기패관(旗牌官) 180인, 보성생(補城生) 440인을 두었다. 이 산성은 특히 1636년의 병자호란 때에 임경업이 이곳을 근거로 하여 싸운 곳으로 유명하다.

참고문헌

『대동지지(大東地志)』
『여지도서(輿地圖書)』
집필자
차용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