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섬가 ()

오섬가
오섬가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창작 판소리 사설.
작품/문학
작가
신재효
원작자
신재효
내용 요약

「오섬가」는 조선 후기에 신재효가 지은 창작 판소리 사설이다. 까마귀와 두꺼비의 대화를 통하여 사랑과 슬픔의 진수라고 할 만한 사건들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보여 주고 있다. 중국의 역사적 사건과 우리나라의 이야기를 대비하여 보여 주면서, 비판적 인식을 남녀 간에 벌어지는 성적 웃음을 통해 표현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창작 판소리 사설.
장르

고창의 주13이며 판소리 비평가, 후원자, 이론가, 작가였던 신재효(申在孝, 1812~1884)의 작품이다. 주1주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간 이 작품을 단가가사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설의 판소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단형 판소리'로 보고 있다. 판소리 사설의 문학적 관습이 잘 드러나고, 전형적인 판소리적 어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대화체 형식과 까마귀(남성)와 두꺼비(여성)라는 등장인물이 중심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근거로 '분창' 형식을 실험한 최초의 창작 판소리 사설로 규정되기도 주3

내용과 구성

「오섬가」는 까마귀(金烏)와 두꺼비(玉蟾)가 마주 앉아 사랑과 슬픔에 대한 여러 사건을 노래하며, 품평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섬가」의 시작은 다음과 같다. 주4 기이한 일도 많고 허망한 말도 많거니와, 이 일과 이 말은 기이할 뿐 아니라 허망한 말 아니엇다. 대저 가마귀와 두터비와 문답 주5 말이 황당한 말이기로, 속 모르고 듯난 이난 허망타 하러니와 속 알고 듯거드면 다른 사설 듯건난냐. 이 가마귀 성은 금가 저 두터비 성은 옥가, 음을 붙여 보면 가마귀는 금오요 두터비난 옥섬인듸 금오는 사나이요 옥섬은 게집이라……. 허다한 말 다 바리고 사람의 주6 중의 사랑 애자 슬플 애자 제일 난감한 것이라…….”

대화의 내용은 사랑과 슬픔에 대한 중국의 고사들을 나열하고, 우리나라의 「춘향가」, 「배비장타령」, 「강릉 매화 주7 등의 인물들을 예로 드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주8가 죽은 후에 계속되는 전쟁으로 부부 간의 생이사별하던 애절한 심정, 제순(帝舜)이 죽은 뒤 피눈물을 흘리면서 남편을 못 잊어 하는 아황(娥皇) · 여영(女英)의 슬픔, 초패왕(楚覇王)이 패전으로 우 미인(虞美人)과 최후의 이별하는 아픔, 한태조(漢太祖)의 부인 여 태후와 후궁 척 부인(戚夫人)과의 사랑의 삼각적 갈등과 비극 속에 드러나는 표면적 애정(哀情)과 그 이면에 숨겨져 있는 주9 희정(喜情)을 노래하였다. 그리고 조선국 남원부의 춘향과 이 도령의 「사랑가」「이별가」, 정 비장과 제주 기생의 사랑과 이별의 노래, 강릉 책방 골 생원을 매화(梅花)가 속이려고 주10에 산 사람을 거짓되이 죽었다고 홀딱 벗겨 앞세우고 상여 뒤를 따라가며 벌이는 굿, 끝으로 미혹에 빠진 남자들에게 여색에서 오는 주11를 경계한 것이 이 노래의 대강이다. 중국의 신화에 바탕을 둔 전개는 「오섬가」의 서사와도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중국과 우리나라를 대비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오섬가」에서 까마귀와 두꺼비를 해와 달의 정령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신화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서술자는 까마귀와 두꺼비를 선택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즉 "이 사설 지은 것이 비유한 말이로다. 가마귀라 하는 이난 태양지정 해님이요, 두터비라 하는 이는 태음지정 달님이라. 일월이 주12 천지개벽 이후 사를 못 보신 게 없었구나. 세상 사람 깨우랴고 칠정 중에 이 두 가지 특별히 기록하사 허실을 분각하고 포렴이 분명하니, 남녀 간 무론하고 이 사설 들으신 후에 각기 알아 하옵시요. 무궁 사설 그만저만."이라고 하여 남녀 간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까마귀와 두꺼비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음을 분명히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오섬가」는 신재효가 판소리적 관습에 충실하면서도 새로운 판소리로서의 실험을 보여 준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 전』(민중서관, 1972)

단행본

이문성 외, 『신재효의 세계인식과 욕망』(지성인, 2012)

논문

김기형, 「신재효 作 가사체 작품의 장르 귀속문제와 작가의식」(『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서종문, 「판소리 단가에 나타난 신재효의 세계인식」(『판소리연구』 23, 판소리학회, 2007)
이기형, 「단가의 범주와 신재효 가사의 성격」(『판소리연구』 10, 판소리학회, 1999)
이해진, 「신재효 <오섬가> 재론-장르 귀속 문제와 작가의식을 중심으로」(『한국문학과 예술』 33,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정병헌, 「오섬가와 판소리적 관습」(『신재효 연구』, 태학사, 1997)
주석
주1

4음보로 이루어진 가사의 문체. 산문에 가깝다. 우리말샘

주2

판소리에서, 창을 하는 중간중간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엮어 나가는 사설. 우리말샘

주3

이해진, 「신재효 <오섬가> 재론-장르 귀속 문제와 작가의식을 중심으로」(『한국문학과예술』33, 숭실대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주4

예전과 지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서로 말을 주고받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 기쁨(喜)ㆍ노여움(怒)ㆍ슬픔(哀)ㆍ즐거움(樂)ㆍ사랑(愛)ㆍ미움(惡)ㆍ욕심(欲), 또는 기쁨(喜)ㆍ노여움(怒)ㆍ근심(憂)ㆍ생각(思)ㆍ슬픔(悲)ㆍ놀람(驚)ㆍ두려움(恐)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7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 조선의 명기(名妓) 매화가 뛰어난 미모와 재치로 한 지조 높은 선비를 유혹한다는 이야기를 사설로 엮은 것인데, 현재 그 창본이 전하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8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처음으로 곡물 재배를 가르치고 문자ㆍ음악ㆍ도량형 따위를 정하였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9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0

환히 밝은 낮. 우리말샘

주11

그릇된 길로 이끎. 우리말샘

주12

해나 달 따위가 위에서 내리비치다. 우리말샘

주13

조선 시대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중앙 관서의 아전을 경아전(京衙前), 지방 관서의 아전을 외아전(外衙前)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