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언 ()

목차
관련 정보
인왕산도 / 강희언
인왕산도 / 강희언
회화
인물
조선 후기에, 「인왕산도」, 「석공도」, 「사인삼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경운(景運)
담졸(澹拙)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8년(영조 1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진주(晉州)
주요 작품
인왕산도(仁王山圖)|석공도(石工圖)|사인삼경도(士人三景圖)
주요 관직
감목관|천문학겸교수|의영고주부|조지서별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인왕산도」, 「석공도」, 「사인삼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운(景運), 호는 담졸(澹拙). 만호(萬號)를 지낸 강태복(姜泰復)의 아들이며, 정내교(鄭來橋)의 외손자이다.

활동사항

1754년(영조 30)에 운과(雲科: 음양과의 이칭)에 급제한 뒤 감목관(監牧官),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 등을 지냈다.

서울 삼청동에서 62세 위인 선배 화가 정선(鄭敾)과 이웃하여 지내면서 그로부터 그림을 배웠다. 강세황(姜世晃)과 교유가 깊었으며, 7세 아래인 젊고 장래가 촉망되는 김홍도(金弘道)와도 교분이 두터웠다. 김홍도는 1778년 여름에 강희언의 집에서 풍속도 병풍을 그리기도 하였다. 강희언은 1781년 김홍도의 집에서 열렸던 진솔회(眞率會)에 참석하였다. 이로 미루어 1781년까지는 생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강희언의 유작은 드문 편으로 현재 「인왕산도(仁王山圖)」와 「석공도(石工圖)」,『사인삼경도(士人三景圖)』 등이 알려져 있다. 정선의 실경산수화풍을 따른 「인왕산도」는 늦은 봄 도화동에 올라 인왕산을 바라보고 그린 작품이다. 미점(米點)과 부벽준(斧劈皴) 등을 혼용하여 나타낸 바위 표현, 담청색의 색감, 솔 숲의 수지법(樹枝法) 등에서 정선 화풍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수채화풍을 연상시키는 담채 처리에서 현대적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석공도」 등 그의 풍속화들은 윤두서(尹斗緖), 조영석(趙榮祏) 등 문인화가의 풍속화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뒤에 김홍도의 풍속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담졸 강희언의 회화 연구」(이순미,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