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조부(調府)·경성주작전(京城周作典)·창부(倉部)·예부(禮部)·승부(乘部)·사정부(司正府)·예작부(例作部)·선부(船府)·영객부(領客府)·좌이방부(左理方府)·우이방부(右理方府)·내성(內省) 등 제일급중앙관청의 차관직이다. 이 중 창부의 경우 경덕왕 때 시랑(侍郎)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정원은 2인에서 최고 6인까지로 일정하지 않았으나, 대개의 경우 2인 이상으로 되어 있었다 내성 경의 경우는 나마 관등에서 아찬 관등을 가진 자가 임용되었고, 나머지 관청의 경은 모두 급찬 관등에서 아찬 관등을 가진 자가 취임할 수 있었다. 위화부(位和部)라는 중앙관청과 사천왕사성전(四天王寺成典)·감은사성전(感恩寺成典)·봉덕사성전(奉德寺成典)·봉은사성전(奉恩寺成典) 등 왕실의 사원을 관리하는 관청의 차관직은 본래 상당(上堂)이라고 불렀으나, 경덕왕 또는 애장왕 때에 경으로 고쳤다. 위화부의 상당(경)은 급찬 관등에서 아찬 관등을 가진 자가 임용되었고, 사천왕사성전의 상당(경) 등은 나마 관등에서 아찬 관등을 가진 자가 취임하였다. 또한 전읍서(典邑署)·국학(國學)의 장관직이 경이었고, 영창궁성전(永昌宮成典) 장관직은 본래 상당이었는데, 경덕왕 때에 경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에 다시 상당으로 칭하였고, 애장왕 때에 다시 경으로 고쳤다. 그리고 음성서의 장관직은 본래 장(長)이라고 불렀는데, 경덕왕 때 잠시 사악(司樂)으로 각각 고쳤다가 혜공왕 때에 다시 경으로 고쳤다. 이들 관청의 경 또는 상당 등의 정원은 1인 또는 2인이었다. 전읍서의 경은 나마 관등에서 사찬 관등까지 가진 자가 임용되었고, 나머지는 대체로 급찬 관등에서 아찬 관등을 가진 자가 취임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