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권 10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4에 시 480여 수, 권5∼19에 서(書) 268편, 권20∼22에 잡저 41편, 권23∼25에 서(序) 16편, 기 18편, 발 19편, 권26에 명잠 4편, 사(辭) 5편, 상량문 2편, 축문과 제문 29편, 권27에 비명 1편, 묘표 3편, 권28에 묘갈명 7편, 묘지명 9편, 권29·30에 행장 11편,사장(事狀) 1편,유사 5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지기들과 수창(酬唱)한 것 외에 명승고적을 답사하면서 즉흥적으로 술회한 것이 많다.
서(書)는 사서에 대한 문목(問目)과 최익현(崔益鉉)과 왕복한 서찰이 많다. 그 중 「상노사선생문목(上蘆沙先生問目)」은 『대학』의 이기(理氣)·성심(性心)에 대한 문목이다. 「답유종원(答柳鍾源)」은 유종원이 심(心)을 기(氣)로 보는 견해에 대한 답으로, 경전내용을 인용하여 심을 기 하나로 표현할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 「여정재규(與鄭載圭)」도 성(性)과 심(心)에 대한 내용이다.
잡저의 「명덕변(明德辨)」은 ‘명덕이 심’이라는 설에 대한 논술이며, 「노산만록(蘆山謾錄)」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통분하여 왜적들의 잔혹한 행위를 폭로한 것으로, 국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국민 각자가 충간의담(忠肝義膽)을 가다듬어 일사보국(一死報國)의 민족정기를 발휘해야 됨을 논술하였다. 「심설(心說)」은 심통성정(心統性情)에 대하여 심·성·정은 하나이면서 명칭만 다를 뿐임을 논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