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박물관 소장 홍진종 의복 ( )

목차
관련 정보
고대 박물관 소장 홍진종 의복
고대 박물관 소장 홍진종 의복
의생활
유물
문화재
1968년 경기도 오산에 소재한 조선 후기의 문신 홍진종(洪鎭宗)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정의
1968년 경기도 오산에 소재한 조선 후기의 문신 홍진종(洪鎭宗)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개설

1968년 5월 20일경기도 오산에서 홍진종(1649∼1702)의 묘를 이장(移葬)할 때 출토된 것이다. 홍진종은 1677년(숙종 3) 진사에 급제하여 통헌대부(通訓大夫)와 평강현감(平康縣監)을 지낸 인물이다. 출토 당시에는 16점의 유물이 수습되었으나 훼손이 심한 소창옷 1점을 제외한 15점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유물은 심의 1점, 중치막(中致莫) 6점, 소창의(小氅衣) 3점, 협수(夾袖) 1점, 답호 1점, 바지 3점 등 모두 15점이다. 1908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현재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심의(深衣)는 길, 상, 소매부분이 백색 저포(苧布)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매끝과 깃에서 도련까지 흑색 무문단(無紋緞)으로 가장자리에 선을 둘렀다. 치수는 뒷길이 138㎝로 상의(上衣) 52㎝와 하상(下裳) 86㎝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화장 113㎝, 뒤품 78㎝이며, 띠의 길이는 239㎝이다.

중치막[中赤莫]은 모두 6점으로 명주에 솜을 얇게 두고 전체를 곱게 누빈 누비중치막이다. 깃의 모양은 칼깃이며, 소매가 넓고 무가 없고 옆선에 옆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는 뒷길이 116.7∼127㎝, 화장 100∼115.5㎝, 뒷품 46∼58㎝이며, 너비 45.5∼52㎝ 정도의 넓은 소매가 달려있다.

소창의 3점은 중치막과 구성 특징은 같으나 크기가 약간 작고 소매통이 매우 좁다. 크기는 길이 104∼116.2㎝, 화장 94.5∼99㎝, 뒷품 40∼56㎝이다. 모두 누비옷으로 되어 있다. 솜을 두껍게 두고 누빈 것으로, 착수에 뒤가 터져 있으며 양옆은 막혀 있는데 이를 협수(夾袖)로 구분하였다.

답호는 앞길이가 115㎝, 뒷길이가 73㎝로서 뒤가 앞보다 42㎝ 정도 짧은 누비답호이다. 앞 목둘레는 깃이 없이 둥글게 파여져 있으며 소매가 없고 양 옆선에는 앞길과 뒷길을 연결하는 고리가 달려 있을 뿐 전체적으로 옆이 트인 형태로 전복의 형태와 비슷하다.

바지 3점은 모두 솜누비 바지로 요즘의 바지와 같은 사폭바지이며, 크기는 길이 95∼98㎝, 허리둘레 122∼140㎝이다. 1점은 무명으로 만들고, 2점은 명주로 만들었는데, 얇게 솜을 두고 1.5㎝ 너비로 누빈 바지와 솜을 두껍게 두고 6㎝ 너비로 누빈 바지가 있다.

의의와 평가

유학자들은 사망 후 심의를 수의로 사용한 경우도 많았기 때문에 수의로 입은 심의가 다수 출토되는데, 홍진종의 묘에서 출토된 심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심의 유물로 평가 받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출토복식-남복-」(유송옥, 『한국의 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