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봉화리 고분군 ( )

목차
고대사
유적
강원도 고산군 고성읍에 있는 삼국시대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이칭
이칭
봉화리 돌덧널무덤
목차
정의
강원도 고산군 고성읍에 있는 삼국시대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북한 영역인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봉수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으로서 삼일포로 가는 호수 남쪽 재 너머에 있다. 유적의 북쪽은 그리 높지 않은 산이고, 동·서·남 세 방면은 평탄한 평지로 되어 있는데, 이곳에 산재 분포되어 있고, 현재는 어느 고분을 막론하고 봉토는 찾아볼 수 없다.

이들 고분 중에서 6기를 백련행 등이 발굴하였하였는데, 그 형태는 거의 유사 하며 삼국시대 수혈식석곽고분(竪穴式石槨古墳)들임이 판명되었다. 유물이 출토된 곳은 제1·2·3호분뿐이며, 유물조차 다양하지 못하고 단순한 것 뿐이다. 제1호분은 길이 220cm, 너비 80cm, 높이 74cm이고, 제2호분은 길이 225cm, 너비 60cm, 높이 95cm이며, 제3호분은 길이 210cm, 너비 60cm, 높이 157cm이다.

그리고 제1호분에서는 금제이식과 청동제팔찌, ㄱ자형 관정(棺釘), 금속제손잡이 등이 출토되었고, 제2호분에서는 두 종류의 철제정(鐵製釘)이 출토되었을 뿐이며, 제3호분에서는 고리달린 금속제손잡이 3점과 철정 12점이 출토되었다. 고분의 구조는 수혈식석곽묘이며, 개석(蓋石)과 좌·우측벽 그리고 북벽과 남벽 등은 잘 다듬어진 한 장의 대형판석으로 되어 있다.

고성봉화리고분은 종래 신라시대 고분군으로 여겨져왔으나 고구려 유물이 출토되었다는 조사보고가 있어 이 고분군이 고구려시대 동해안 지방세력의 무덤이었을 개연성도 있다. 향후 이 고분군의 성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봉화리무덤떼의 조사보고」(백련행, 『고고민속』1967년 1호, 사회과학원출판사,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