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광운대학교
광운대학교
단체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이칭
이칭
광운대, 광운공대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34년 5월 20일 조광운(曺光云)이 전자산업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조선무선강습소(朝鮮無線講習所)로 설립하였다. 1940년 조선무선공공학원으로 개칭하였고, 1963년 12월 16일 동국전자공과대학으로 인가를 받았다.

전자공학과ㆍ응용전자공학과ㆍ통신공학과ㆍ무선통신학과의 4개 학과로 편성하여 초대 학장에 조응천(曺應天)이 취임하였다. 1964년 10월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67년 전기공학과ㆍ기계공학과ㆍ공업교육학과, 1971년에 전자계산학과를 설치하였다.

1976년 광운공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1983년 학문의 종합화를 지향하면서 특정 분야를 의미하던 교명을 광운대학으로 개칭하였다. 1987년 종합대학교로 개편하면서 광운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8년 건축공학과ㆍ환경공학과ㆍ경영대학원, 1989년 신문방송학과를 신설하고, 1990년 7월 전자계산교육원을 개원하였다. 같은 해 8월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설치하고, 11월 전산대학원 설립인가 되었다. 1991년 전파공학과ㆍ산업심리학과ㆍ경영정보학과를 신설하였으며, 1994년 9월 문화관을 개관하였다.

1996년 국제법무학과를 신설하였으며, 1998년 광운종합정보시스템을 개통하고, 종합정보센터를 개관하였다. 1998년 10월 정보통신공학과를 신설하고, 1999년 8월 BK21사업에 물리ㆍ화학 분야가 선정되었으며, 11월 교육대학원이 설립인가 되었다. 2000년 디지털경영연구소ㆍ비교법연구소를 개소하고, 정보복지대학원이 설립인가 되었으며, 새로운 UI를 선포하였다.

2001년 첨단연구센터를 준공하고, 컴퓨터공학부ㆍ건축학부ㆍ미디어영상학부를 신설하였으며, 창업보육센터를 개소하였다. 2004년 산학협력단이 출범하였고, 광운학원 창립 7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2005년 승리관ㆍ한울관을 준공하였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참빛’이다. 학교발전 프로젝트 ‘K-VISION 2015’를 통해 글로벌 IT 명문대학으로의 발돋움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광운 고유의 신입생 선발(광운특대생 제도 및 광운 특유의 학생 스펙 개발), 교수ㆍ연구의 수월성 강화, 외국교수 초빙 및 영어강좌 확대, 인문학 및 기초학문 강화, 학제 간 교수학술 페스티벌 개최, 전교 대상 CDO(Career Development Program) 운영 등을 시행, 도모하고 있다.

국제교류로 미국 미시시피주립대학교(Mississippi State University)ㆍ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ㆍ아칸소대학(University of Arkansas), 일본 신슈대학, 중국 하얼빈공과대학ㆍ칭다오공과대학, 러시아 우랄국립대학교(Urals State University), 독일 오스나브릭대학교(Osnabrueck University) 등 해외 60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맺고 교환학생제, 어학연수, 해외 인턴십, 학술교류 등을 시행하고 있다.

현황

2024년 3월 현재 7개 대학원, 9개 단과대학(학부 12, 학과 24)에 재학생은 8,447명, 전임교원은 323명이다. 부속기관으로 중앙도서관ㆍ정보과학교육원ㆍ원경평생교육원ㆍ언어교육원ㆍ광운한림원 등이 있고, 부설 연구기관에 정보통신연구소ㆍ기초과학연구소ㆍ비교연구소ㆍ광운전략환경평가연구소ㆍ인문사회과학연구소ㆍ디지털경영연구소 등이 있다. 중앙도서관은 연면적 5,418㎡에 지상 9층 규모로 1,476석의 열람석을 갖추고서 50만 8,000여 권의 장서와 1만 9,500여 점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등교육연구』김기석교육과학사2008
『광운학원 70년사』광운대학교2004
광운대학교(www.kw.ac.kr)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