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문협(文協), 호는 강초(江樵). 세거지는 대구였다. 아버지는 구경로(具景魯)이며, 어머니는 대구서씨(大邱徐氏)로 서예열(徐睿烈)의 딸이다. 서찬규(徐贊奎)의 문인이다.
어릴 때부터 재주가 뛰어나, 11세 때 이미 ‘돌’을 소재로 하여 “뭍에 모여서는 태산을 이루고, 물에 다다라서는 여울 소리를 만든다(聚陸成泰山 臨流作灘聲).” 라는 시를 지었다.
약관이 되어서는 동료들을 이끌고 동화사(桐華寺)에 들어가 시서(詩書)를 읽고 성리서(性理書)에 잠심(潛心)하여 위기(爲己)의 실체를 터득하였으며,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하였다.
1855년(철종 6) 하양(河陽)의 금호(琴湖)로 집을 옮기고 고향 사우(士友)와 함께 난정계(蘭亭稧)를 닦고, 향약을 만들어 풍속의 순화에 노력하였다. 1858년 불국사에 들어가 『주역』을 읽고 『연역설(演易說)』 2책을 지었다.
1865년(고종 2) 향음례(鄕飮禮)를 행하였으며, 그 뒤 후진양성에 힘썼다. 양산(梁山) 충렬사(忠烈祠)에 봉향되었으며, 저서로 『연역설(演易說)』 2책과 『강초유고(江樵遺稿)』 2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