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하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귤하유고
귤하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식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식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1책. 목활자본. 1898년 그의 아들 제태(濟泰)·제겸(濟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유(許愈)의 서문과 권말에 제태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25수, 권3에 서(書) 19편, 권4에 잡저 2편, 서(序) 2편, 기 1편, 발 2편, 명 1편, 권5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지문·묘갈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서정적인 감흥으로 산수의 경치를 읊거나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감회를 나타낸 것이 대부분이며, 시어(詩語)가 평담하다. 서경시 가운데 「유안식동(遊安息洞)」·「유문암(遊文巖)」·「유적벽(遊赤壁)」 등은 비교적 경치와 감개가 잘 표현되어 있다. 「추야서회(秋夜書懷)」는 은밀한 감회를 유유자적하게 읊은 것이며, 「원객(遠客)」은 멀리서 궁산(窮山)을 찾아온 친구에 대하여 반가운 심정을 토로하는 내용이다.

또한, 「취음(醉吟)」·「순삼일송성호동음(旬三日宋性浩同飮)」 등 술로써 인생을 자오(自娛)하는 시도 보인다. 「증별김주서(贈別金周瑞)」는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풍부한 정감을 묘사한 것이다. 이밖에 「하송(夏松)」·「두견화(杜鵑花)」 등 영물시(詠物詩)가 있다.

서(書)는 친지간의 문후(問候)가 대부분이다. 「답조태현(答趙泰玄)」은 유풍(儒風)의 부진함을 우려하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강조한 내용이다.

잡저 가운데 「서노사선생송김치경서증사제관동지행(書蘆沙先生送金稚敬序贈舍弟關東之行)」은 동생 숙민(琡民)이 관동지방의 명승지를 유람하기 위해 떠날 때 송서(送序)로 지어준 글이다. 명의 「금강장명(金剛杖銘)」은 그의 동생이 금강산 만폭동에서 구해 선물한 지팡이에 대하여 지은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