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구 ()

목차
인문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구지지산(仇知只山), 당산(唐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구지지산(仇知只山)이었는데, 663년 당나라 치하에서 당산(唐山)으로 개칭, 노산주(魯山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757년(경덕왕 16) 금구로 개칭, 전주도독부(全州都督府) 관내 전주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도 계속 전주목의 임내(任內)였다가 1170년(의종 24) 이의방(李義方)의 외향인 연고로 현령관으로 독립 고을이 되고, 전주 임내 역양현(轢陽縣)과 대율부곡(大栗部曲), 김제 임내 거야현(巨野縣)과 종정소(從政所)가 편입되었다. 이들은 조선 초기에 직촌(直村)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전주진관에 속하였고 1895년(고종 32) 전주부 금구군, 189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금구군이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김제군에 병합되어 금구면이 되었으며, 1995년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합되어 김제시에 속하게 되었다.

금산사(金山寺) 입구의 원평(院坪)은 조선 후기에 번영한 시장이며, 1894년 전봉준(全琫準)이 머물며 각지의 집강소(執綱所)를 지휘하던 동학농민운동의 거점으로 한 때 전라도의 실질적인 수도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지방행정구역발전사(地方行政區域發展史)』(내무부,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