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항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가구(可久)
시호
정견(貞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9년(중종 14)
사망 연도
1564년(명종 19)
본관
행주(幸州)
주요 관직
이조참판|한성부판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가구(可久). 기축(奇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기찬(奇禶)이고, 아버지는 응교 기준(奇遵)이며, 어머니는 윤금손(尹金孫)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1546년(명종 1)에 식년문과에 을과로 주2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고, 1551년 평안도암행어사로 나가 민폐를 살폈다.

이듬해 이조정랑을 거쳐 1553년 헌납이 되었다. 1554년 사간이 되고 이어 전한 · 직제학이 되었다. 1556년에는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용양위대호군에 임명되었다. 1558년(명종 13) 춘천부사로 나가 3년간 선정을 베푼 뒤 예조 · 호조참의를 역임하였다.

그 뒤 1561년 대사간으로서 재변소(災變疏) 6조목을 올려, 경천(敬天) · 법조(法祖) · 무학(務學) · 납간(納諫) · 임현(任賢) · 애민(愛民)에 힘쓸 것을 주3 1563년 부제학이 되었는데, 당시 권신이던 이량(李樑)이 사화를 일으켜 사류들을 숙청하려 하자, 심의겸(沈義謙) 등과 함께 이량의 죄상을 폭로하였다.

이때 이량을 옹호하던 사헌부의 죄상도 함께 탄핵하여 이량을 강계로 귀양보내고 그 일파도 관직을 삭탈하는 한편, 새로 등용된 사림들을 옹호하였다. 이어 대사헌이 되고 이조참판을 거쳐, 1564년 공조참판 · 한성부판윤에 발탁되었다. 시호는 주4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고봉집(高峯集)』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재변소 6조목 건의 : 『명종실록』 27권, 1561년(명종 16) 4월 25일. "기대항 등이 재변을 계기로 상소하여 여섯 가지 조목을 진달하다"

주4

시호 정견 추증 : 『명종실록』 30권, 1564년(명종 19) 7월 13일. "판윤 기대항의 졸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