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량 ()

목차
관련 정보
흑구도 / 김두량
흑구도 / 김두량
회화
인물
조선후기 「월야산수도」 · 「춘하도리원호흥도권」 · 「흑구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도경, 남리, 운천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6년(숙종 22)
사망 연도
1763년(영조 39)
본관
경주
주요 관직
도화서별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월야산수도」 · 「춘하도리원호흥도권」 · 「흑구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도경(道卿), 호는 남리(南里), 운천(芸泉). 사과(司果) 김효강(金孝綱)의 아들이며, 화원 함제건(咸悌健)의 외손자이다. 22세에 화사군관으로 삼도통제영에 배속되었다. 후에 도화서별제(圖畵署別提)를 지냈다.

활동사항

윤두서(尹斗緖)의 그림을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인 북종화법을 따르면서도 남종화풍과 서양 화법을 수용한 작품을 남겼다. 산수, 인물, 풍속, 영모(翎毛) 등 여러 방면의 소재에 능숙하였고, 신장도(神將圖)를 잘 그렸다.

현존하는 작품 가운데 전통 화법을 따른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것은 1744년(영조 20년) 49세에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월야산수도(月夜山水圖)」이다. 이 작품은 해조묘(蟹爪描 : 나뭇가지를 게의 발이 갈라지듯 그리는 표현법)의 수지법(樹枝法), 바위의 부벽준법, 급류로 표현된 계곡, 구도 등으로 전형적인 명나라의 북종화 계통을 따르고 있다.

아들 김덕하(金德廈)와 함께 그린 작품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춘하도리원호흥도권(春夏桃李園豪興圖卷)」과 「추동전원행렵도권(秋冬田園行獵圖卷)」은 긴 횡권의 사계절 풍속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의 산수 표현에는 남종화풍의 영향이 엿보인다.

그의 작품에서 새로운 서양 화법의 수용을 보여 주는 화제(畵題)는 동물화이다. 「흑구도(黑狗圖)」와 「자웅견장도(雌雄犬將圖)」 그리고 황소와 낮잠 자는 목동을 그린 「목우도(牧牛圖)」 등은 입체적인 음영법을 구사하여 사실적인 묘사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새로운 화법으로서, 당시 청나라로부터 유입된 서양 화풍의 수용을 시사해 준다. 당시에 서양 화풍의 유입을 알려 주는 대표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맹견도(猛犬圖)」가 있는데, 그의 동물화는 이 그림의 필치와 유관함을 보여 준다.

이 밖에 인물화로서 강세황(姜世晃)의 화평(畵評)이 있는 「고사몽룡도(高士夢龍圖)」는 그가 신장 그림에 뛰어났음을 보여 준다. 화원으로서 별제에 발탁되었고, 영조의 총애를 받아 남리라는 호를 직접 하사받았던 것으로 보아 화원으로서의 평가가 대단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사』(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서화인명사서』(김영윤, 한양출판사, 1957)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남리 김두량의 회화연구」(김상엽,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