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헌 선생 묘 ( )

목차
관련 정보
남양주 김상헌 선생 묘 정측면
남양주 김상헌 선생 묘 정측면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김상헌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상헌선생묘(金尙憲先生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87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 5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김상헌 무덤.
개설

김상헌(金尙憲, 1570∼1652)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 마을에 있다. 그의 묘소 위에는 할아버지 김생해(金生海) 묘소가 있고, 왼쪽에는 신(新) 안동김씨의 중시조로 꼽히는 아버지 김극효(金克孝)의 묘소가 있다. 부인 성주 이씨(星州李氏) 묘는 석실 마을 산5번지에 있다. 1987년 2월 12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김상헌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치적으로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공신 세력의 보합위주정치(保合爲主政治)에 반대, 시비(是非)와 선악의 엄격한 구별을 주장해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로 활동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예조판서로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하였고,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았다.

묘역의 면적은 300㎡이며, 봉분은 높이 170㎝, 직경 4m이다. 봉분 앞에 묘비(墓碑)가 있는데,구름 문양에 해와 달을 새겨 넣은 이수(螭獸)와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갖추었다. 비면에는 ‘유명조선문정공 청음선생상헌지묘(有明朝鮮文正公淸陰先生尙憲之墓)’라 쓰여 있다. 그 오른쪽에는 ‘학문에 부지런하고 묻기를 좋아하여[勤學好問] 문(文)이라고 하고, 정도(正道)로 복종시켰으니[以正服之] 정(正)이다.’라는 시법(諡法)이 특별히 새겨있으며, 왼쪽에는 1669년(현종 10) 건립되었다는 연도를 새겼다.비의 높이는 180㎝, 너비 55㎝, 두께 14㎝이다.

그 앞에는 장대석(長臺石)을 쌓고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있다. 배계절(拜階節 : 계절 밑에 절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고른 땅)의 왼편으로 옷주름 모양이 비교적 섬세한 문인석(文人石)이 배치되어 있고, 이와 마주하여 또 하나의 대리석으로 된 묘표(墓表)가 있다. 이것은 1671년(현종 12)에 건립한 것으로 앞면에는 손자인 김수증(金壽增)이 예서(隸書)로 “지성으로 금석에 맹세하였고, 대의(大義)는 해와 달처럼 하늘에 걸려있네. 천지가 굽어보고 귀신도 알고 있다네. 고(古)에 부합하고자 하다가 도리어 금(今)과는 어긋났구나. 아! 백세 뒤에 사람들은 내 마음 알아주리라.[至誠矢諸金石 大義縣乎日月 天地監臨 鬼神可質 蘄以合乎古 而反盩於今 嗟 百世之後 人知我心]”라고 쓴 묘명(墓銘)이 있다.뒷면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송준길(宋浚吉)이 글씨를 쓴 묘표의 내용이 새겨있다. 규모는 총 높이 275㎝, 비높이 160㎝, 너비 75㎝, 두께 17㎝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송자대전(宋子大全)』
『남양주지』(양주문화원, 1992)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0)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