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섭 ()

오남문집
오남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통화변답, 「농정신서서조변」, 『오남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오남(吾南)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8년(헌종 4)
사망 연도
1894년(고종 31)
본관
영광(靈光)
출생지
전라남도 장흥군
정의
조선 후기에, 「통화변답, 「농정신서서조변」, 『오남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영광(靈光), 호는 오남(吾南). 아버지는 김노현(金魯鉉),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 윤상열(尹商說)의 딸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이항로가 죽은 뒤에 다시 임헌회(任憲晦)와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이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학문이 성취된 뒤엔 고향인 장흥(長興)과 금릉(金陵, 강진 별호)의 대명동(大明洞)에서 서당을 열고 후진 교육에 일생을 바쳤다. 1877년에 강진군 월각산(月角山) 밑 대명동으로 이주했으며, 1882년에 그의 둘째 아들 김봉식(金鳳植)을 지도(智島)로 보내어 김평묵(金平默)을 찾아가 공부하게 하였다.

또 1883년엔 그의 스승 임헌회의 문집인 『고산문집(鼓山文集)』 간행을 위하여 오랫동안 고창(高敞)에 있었다. 「삼극도설(三極圖說)」·「유석심학부동변(儒釋心學不同辨)」·「일감문답(一鑑問答)」 등 성리학적 논저와 「벽사설(闢邪說)」·「통화변답(通貨辨答)」·「농정신서서조변(農政新書序條辨)」 등 정치적 견해를 담은 논문도 있다.

대체로 명덕주기설(明德主氣說)·성즉리심즉기설(性卽理心卽氣說)·성위심재설(性爲心宰說) 등을 반대하고 명덕은 이(理)가 주(主)이며, 심(心)은 이와 기의 합이며, 심은 몸의 주재자라는 견해를 주장한 것이 그의 성리학적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저서로는 『오남문집(吾南文集)』이 있다.

참고문헌

『오남문집(吾南文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