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 활자본. 1822년(순조 22)에 박심학(朴心學)에 의해 금속활자본으로 초간되었는데, 김조순(金祖淳)과 김노경(金魯敬)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중간본은 1903년에 박경하(朴景夏)에 의해서 간행되었는데, 초간본의 발문 이외에 김학진(金鶴眞)과 송태헌(宋台憲)의 발문이 포함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시 9수, 소(疏) 39편, 조하의절(朝賀儀節)과 가훈십칠칙(家訓十七則) 등 잡저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소문 39편은 대부분 악기·음률·악제 등 음악에 관련된 것으로서, 주로 『세종실록』에서 발췌한 것으로 보인다. 초간본과 중간본의 내용은 발문 이외에는 똑같다.
39편의 상소문 가운데 음악에 관한 것은 여악(女樂)·율관·조악(朝樂)·제향악·아악(雅樂)·악률·묘악(廟樂)·정조하악(正朝賀樂)·좌전시악(坐殿時樂)·석경(石磬)·생포(笙匏)·방향(方響)·훈(塤)·축(柷)·악현(樂懸)·일무(佾舞)·등가(登歌)·무무(武舞)·화악(華樂)·아부악(雅部樂)·공인복식(工人服飾)·토부(土缶)·대고(大鼓)·뇌고(雷鼓)·노고(路鼓)·당상악(堂上樂)·죽독(竹牘)·건고(建鼓)·악가(樂架)·관현공(管絃工)·가공(歌工)·종묘악(宗廟樂)·헌가(軒架)·종경(鐘磬)··편종(編鐘)·가동(歌童)·악보(樂譜) 등으로, 조선 전기 세종 때의 음악사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조하의절」은 세자의절과 군신의절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 또한 조선시대의 의절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