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들임

목차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에서 혼의 일부가 육체에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생긴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는 무속의식.
목차
정의
제주도에서 혼의 일부가 육체에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생긴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는 무속의식.
내용

인간은 육체와 여러 개의 넋[魂]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15세 이하의 어린아이는 이 육체와 넋의 결합이 불안정하여 조금만 잘못하면 넋이 이탈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넋이 이탈하는 계기는 높은 곳에서 넘어졌을 때, 나무에서 떨어졌을 때, 물에 빠졌을 때,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등 위험한 상황을 만나 깜짝 놀랐을 때이다.

넋이 빠져나가면 아이는 평상시와 달리 잠을 자다가 깜짝깜짝 놀라 울기도 하고, 식욕이 없어지고 소화가 안 되며, 날이 지나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기력이 없어져간다. 이러면 ‘넋났다’라고 하여 넋이 나갔다고 판단하고 심방[神房: 무당]을 빌어 넋들임을 한다.

넋들임은 비념(병이 낫게 해 달라고 비는 작은 규모의 의례) 형식의 넋들임과 굿 형식의 넋들임이 있다. 비념 형식의 넋들임은 간단한 기원 형식의 의례로 평복 차림의 심방이 떨어져 나간 아이의 넋을 불러 그 육체 속에 들여 넣는 것이다. 곧 넋이 떨어져 나간 장소에 쌀그릇·물그릇 그리고 환자인 아이의 저고리를 올려놓은 제상을 차리고, 심방이 서서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떻게 하여 넋을 잃었는데, 삼승할마님[産神]께서 넋을 찾아 들여 넣어 주십시오.”라고 간절히 빈다.

그 후 환자의 저고리를 두 손에 벌려 들고, “성은 무슨 씨 몇 살 마흔여덟 상가메[정수리]로 초넋 돌아옵서!”, “서른여덟 중가메로 이넋 돌아옵서!”, “어 넋들라, 넋들라!”라는 식으로 큰 소리로 넋을 불러 저고리로 넋을 거두어 싸는 동작을 하고는 저고리를 환자의 머리에 얹어서 “어, 코─”하고 소리를 내면서 큰 숨을 환자의 머리에 불어넣는다. 이는 정수리로 넋을 불어넣는 행위인 것이다.

다음은 환자의 이름을 세 번 불러 환자로 하여금 대답하게 하여 넋이 돌아왔음을 확인하고 제상의 물을 세 모금 먹여서 들어온 넋을 진정시킨다. 이로써 넋들임은 끝난 것이지만, 넋이 나간 사이에 ‘새[邪]’가 범접했을지도 모르므로 ‘새ᄃᆞ림’ 제차를 첨가하여 행하고 끝을 맺는다.

굿 형식의 넋들임은 비념 형식의 넋들임으로써 효험이 없을 경우 규모를 크게 하여 굿청을 차리고, 초감제·추물공연·넋들임·새ᄃᆞ림·잡귀풀이·도진의 순으로 진행하는데, 그 중심 제차인 넋들임은 비념 형식의 그것과 거의 같다.

이 넋들임은 우리 민족의 영혼관에 기초를 둔 치병의례로 시베리아와 오키나와의 샤먼의례에도 비슷한 것이 있어 그 분포는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제주도 무속 연구』(현용준, 집문당, 1986)
『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집필자
현용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