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훈도감의궤 ()

목차
관련 정보
녹훈도감의궤
녹훈도감의궤
유교
문헌
조선시대 각종 모반 및 반란사건을 고변하거나 평정한 공이 있는 사람에 대한 녹훈을 기록한 의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각종 모반 및 반란사건을 고변하거나 평정한 공이 있는 사람에 대한 녹훈을 기록한 의궤.
내용

규장각도서에는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 昭武寧社錄勳都監儀軌≫·≪녹훈도감의궤≫·≪분무녹훈도감의궤 奮武錄勳都監儀軌≫ 등 3종의 ≪녹훈도감의궤≫가 있다.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는 1책 178장의 필사본으로, 1627년(인조 5) 9월 횡성의 이인거(李仁居)가 일으켰던 역모사건을 적발해 이를 평정한 홍보(洪寶) 등 6인에게 녹훈한 내역과, 이듬해 1월 유효립(柳孝立)·정심(鄭沁) 등의 모반사건을 진압한 공신 11인에게 녹훈한 내역의 기록이다.

≪녹훈도감의궤≫는 1책 136장의 필사본으로, 1644년 3월부터 5월까지 심기원(沈器遠) 등의 모반사건을 고발해 평정하는 데 공이 큰 황헌(黃瀗)·이원로(李元老) 등 10인에게 녹훈한 내역과, 1646년 3월 호서지방의 유탁(柳濯)·권대용(權大用) 등의 모반사건을 상변(上變)한 이석룡(李碩龍)을 녹훈한 내역의 합록(合錄)이다.

≪분무녹훈도감의궤≫는 1책 242장의 필사본으로, 1728년(영조 4) 4월부터 8월까지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한 오명항(吳命恒) 등 15인의 공신에게 녹훈한 기록이다.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는 ≪소무녹훈의궤≫와 ≪영사녹훈의궤≫의 합본으로 되어 있다.

≪소무녹훈의궤≫에는 이인거가 후금과의 화친을 주장한 대신들을 참하겠다고 하면서 스스로 창의중흥대장(倡義中興大將)이라 칭하고 기병한 반란동기와 상변·진압의 경위, 국문·녹공(錄功)의 결정, 감훈단자(勘勳單子), 수충분의결책청난소무공신(輸忠奮義決策淸難昭武功臣)이라는 훈호(勳號), 도감의 설치·구성인원·업무분장 및 구체적인 업무 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영사녹훈의궤≫에는 유효립 등이 인조반정으로 몰락한 대북(大北)의 여당들과 제휴해 광해군을 상왕으로 삼고, 선조의 제5왕자인 인성군 공(仁城君珙)을 왕으로 추대하려는 모반사건을 허적(許0x9B91)의 고변으로 사전에 진압한 경위, 녹훈대상자 명단을 기록한 감훈단자,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炳幾翊命寧社功臣)으로 정한 훈호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도감의 설치내역 등은 소무녹훈과 공통으로 되어 있다. 영사공신(寧社功臣)에 대해서는 시호와 명단을 기록한 책인 ≪영사원종공신녹권 寧社原從功臣錄券≫이 별도로 있다.

1644년의 영국공신(寧國功臣) 등에 대한 기록인 ≪녹훈도감의궤≫는 심기원이 좌의정으로 남한산성 수어사를 겸임하게 되자, 이를 기화로 심복의 장사들을 호위대에 두고, 전 지사(知事) 이일원(李一元), 광주부윤 권억(權澺) 등과 모의, 회은군 덕인(懷恩君德仁)을 왕으로 추대하려고 역모를 꾀하자, 부하 황헌·이원로 등이 훈련대장 구인후(具仁垕)에게 밀고함으로써 사전에 적발, 그들을 주살하게 된 사건의 경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국청의 설치 및 국문의 내용, 녹훈자의 명단, 회은군 덕인에 대한 처벌내용, 1646년 유탁·권대용의 모반사건과 합훈(合勳)해 택일한 회맹제일(會盟祭日)의 결정경위, 정공신(正功臣) 외에 원종공신(原從功臣)의 명단과 그들에 대한 상전(賞典)의 내용, 훈호, 각 방(房)의 업무분장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분무녹훈도감의궤≫는 책 머리부분이 부식되어 녹훈 발의내용은 알 수 없으나, 감훈(勘勳)·소차질(疏箚秩)·도청사목(都廳事目)·이문(移文), 감결질(甘結秩)·의주질(儀註秩)·일방(一房)·이방·삼방·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도감등록(都監謄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감훈에는 훈호가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으로 결정된 일과 녹훈자의 책정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고, 소차질에는 공신의 숫자 및 공훈의 등제(等第) 결정에 있어 논란한 경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청사목·이문·감결질 등에는 도감의 설치내역, 회맹제일의 택일, 원종공신의 등급별 인원 및 시상내용, 회맹제 제문, 각 관아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주질에는 회맹제의(會盟祭儀)·진사전의(進謝箋儀) 등이 있으며, 일방은 직조색(織造色) 및 교서색(敎書色), 이방은 공신들의 화상색(畫像色), 삼방은 녹권(錄券)·회맹록 등의 인출(印出) 등으로 각 방의 업무분장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별공작의궤는 회맹축(會盟軸)·교서(敎書) 등의 궤(櫃)·함(函) 등을 제작하는 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의궤들은 주로 인조 및 영조 대에 일어났던 여러 가지 모반사건의 경위 등을 규명,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
『영조실록』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