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상설 ()

논어상설
논어상설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어유봉이 『논어』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수집 · 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학자 어유봉이 『논어』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수집 · 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본래 김창협(金昌協)이 편찬을 계획하여 목록과 편찬체제를 만들고, 문인 김시우(金時佑)와 함께 편찬을 시작했는데, 불과 수 편을 정리하고는 김창협이 세상을 떠나자 일이 중단되었다. 김시우는 이 계획이 완성되지 못한 것을 한스럽게 여겨 어유봉을 만날 때마다 이 책의 완성을 권하였다. 어유봉은 스승의 이 같은 권고를 받고, 선생의 유업에 착수해 2년 만에 이와 같은 규모의 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서지적 사항

4권 4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이 책은 『논어』의 편차순서에 따라 편·장의 체제에 맞추어 주석을 모아 편찬하였는데, 『논어』 원문의 장구(章句)를 표출하고, 다음 행을 바꾸어 한 자의 사이를 낮추고, 원문 장구에 해당하는 『논어집주(論語集註)』를 그대로 옮겨 실었으며, 이어서 다시 행을 바꾸고 한 자를 낮추어 『주자대전(朱子大全)』 안에 담겨진 『논어』 각 편장에 관계된 논평과 해설에 관한 내용을 모두 추출해 요약·정리하였다.

논평과 해설 내용은 주로 붕우와 문인들과 주고받은 논의들로, 인용 말미에는 반드시 서제(書題)를 부기하고 있다. 표출된 원문에 집주가 많은 곳은 논평·해설의 양도 자연히 많은데, 대체로 이러한 부분은 『논어』의 내용에 있어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과 비례해 상세함과 간략함을 조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논어』 제1편 1장 ‘子曰學而時習之’에 관한 논평·해설은 2천자에 달하고 있으며, 2장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에는 3천자의 논평·해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편장에 따라서는 40자에 불과한 논평·해설로써 한 장을 마친 간략성을 보이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논어』 원문 전체를 해석한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주희(朱熹)의 『논어집주』 이외에서 토의된 『논어』의 각 편장에 대한 주희의 견해가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어서 『논어』에 대한 주희의 견해를 종합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주자사상의 한국적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참고문헌

『고선책보(古鮮冊譜)』
『한국유학사(韓國儒學史)』(배종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4)
『규장각도서한국본총목록(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서울대학교동아문화연구소 편, 1966)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현상윤, 194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