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1903년 6세손 종대(鍾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재기(李載基)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각 권별로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87수, 권2에 서(書) 40편, 권3에 서(序) 1편, 기 2편, 지(識) 1편, 상량문·축문·제문·애사·묘지 등의 잡저 24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 5편, 제문 7편, 가장(家狀)·묘지명·묘갈명·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율시·칠언율시·오언절구·칠언절구·칠언배율 등 다양한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모두 전아(典雅)하고 격률(格律)이 엄격하며 정감적이다. 「백련암여이사범연구(白蓮菴與李士範聯句)」는 백련암에서 이사범과 오언절구로 화답한 내용이며, 「목탁행증대경사(木鐸行贈大擎師)」는 불교에 관한 그의 식견과 관심을 표현한 것이다. 「수용가(水舂歌)」는 물레방아를 노래한 것으로 문장이 유려하며, 이밖에 「황지가(黃池歌)」·「태백산자지가(太白山紫芝歌)」·「차김군구장가(次金君鳩杖歌)」 등도 격조가 높다.
서(書)는 채제공(蔡濟恭)·이상정(李象靖)·강항(姜沆)·서유린(徐有隣)·홍중효(洪重孝) 등 명사들과 주고받은 것이나, 학문적인 내용은 없다. 기의 「홍제사이건기(弘濟寺移建記)」에는 유정(惟政)이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운 일들을 적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