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교부흥경략 ()

단군교부흥경략
단군교부흥경략
유교
문헌
일제강점기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 · 전말 등을 기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교리서. 단군교교리서.
정의
일제강점기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 · 전말 등을 기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교리서. 단군교교리서.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82장. 신연활자본. 1937년 김재웅(金在雄)의 교열을 거쳐 정진홍(鄭鎭洪)이 편집, 간행하였다.

내용

권두에 민병한(閔丙漢)·정두화(鄭斗和)의 서문과 정훈모(鄭薰謨)의 서언(緖言)이 있고, 권말에 김재웅의 발문이 있다.

권수의 목차에 수록된 편차는 단군강세(檀君降世)·비서갑씨급사황자(匪西岬氏及四皇子)·단군세기(檀君世紀)·천부경(天符經)·삼일신고(三一神誥)·향사예식절차(享祀禮式節次)·찬송문(贊頌文)·단성전건축(檀聖殿建築)·신전봉찬회발기(神殿奉贊會發起)·교문부흥후삼십년경과약요(敎門復興後三十年經過略要)·지교설립(支敎設立)·송녹아도서(送鹿兒島書)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군강세>에는 단군신화의 이야기를 싣고 있다. <비서갑씨급사황자>에는 비서갑하백(匪西岬河伯)의 신녀(神女) 비서갑씨가 단군의 후(后)이며, 4황자인 부루(夫婁)·부소(夫蘇)·부우(夫虞)·부여(夫餘)를 낳았다고 하고, 이에 대한 근거로 ≪동사 東史≫·≪규원사화 揆園史話≫ 등을 인용하고 있다.

<단군세기>에는 단군이 상원갑자(上元甲子) 10월 3일에 강세(降世)해 125년 무진(戊辰)에 왕검(王儉)이 되고, 217년 경자(庚子) 3월 15일에 어천(御天)해 재위 93년 동안 나라를 다스린 것으로 소개하였다. 이에 대한 출처로 ≪단단실기 檀檀實記≫라는 책을 인용하였다. 이어 단군에서부터 47세 고열가왕검(古列加王儉)에 이르기까지 각 왕검의 명칭과 재위연수 등을 기록하고 있다.

<천부경>은 총 81자로 되어 있다. 단군시대 기록을 맡았던 신지(神誌)의 전서(篆書)를 신라 최치원(崔致遠)이 풀이해 영변의 태백산(太伯山 : 묘향산의 이칭)에 석각(石刻)해놓았던 것으로, 1917년 계연수(桂延壽)라는 사람이 약을 캐러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발견했다는 내용의 입수 경위를 함께 부기(附記)하였다.

이어 <천부경>에 대한 김영의(金永毅)의 주해(註解)를 싣고 있다. 홍익인간의 천하적 세계관에 기본한 정치철학을 담고 있는 내용으로, 주로 역학(易學)을 인용해 풀이하고 있다.

<삼일신고>는 천훈(天訓)·신훈(神訓)·천궁훈(天宮訓)·세계훈(世界訓)으로 구분하여 종교적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진리도 眞理圖>라는 도표로 천신(天神)과 인물(人物)의 관계를 성리학적 전개 방법으로 풀이하고 있는 것이 주목을 끈다.

<향사예식절차>·<찬송문>에는 제물(祭物)의 종류 및 진설도식(陳設圖式)·축문식(祝文式)·향사홀기(享祀笏記)·송덕문(頌德文)·교단기(敎團旗), 종단의 교직자, 교약장(敎約章) 등 종교적 의식·운영·규약 등에 관하여 상술하고 있다.

교직자로 대종사(大宗師)에는 정훈모, 대성사(大誠師)에는 민병한 등 6명, 대선사(大宣師)에는 이해승(李海昇) 등 65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대종사 정훈모 등의 사진 3점이 있다.

<단성전건축>에는 1930년 시흥 관악산 아래 송록동(松鹿洞)에 단성전(檀聖殿)을 건립하게 된 동기와 전말을 기록하고 있다. 안순환(安淳煥)의 출자(出資)로 우리의 뿌리를 찾고자 하는 민족적 자각에서 창건하게 되었다는 동기를 밝히고 있다. 창건 발기식 때의 내빈축사는 지석영(池錫永)이 한 것으로 되어 있어 추진인사의 면모를 짐작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일제의 탄압 하에서 민족자존의 대의를 밝히고자 한 종교운동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 책의 여러 자료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