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업고등학교 ()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단체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25년 4월 1일 대구광역시 장관동에 대구공립보습학교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는 일본인 중심의 학교로서, 2년제 가구과(家具科)를 설치하여 1937년 3월까지 11회에 16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37년 4월 3년제 대구공립직업학교로 개편하고 이듬해 현재의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1944년 3월 4년제 대구공립공업학교로 개편되어 기계과·항공과·목재공예과를 설치하였다. 광복 후 재개교하여 초대 교장에 조구순(趙龜淳)이 취임하였으며, 이듬해 9월 6년제 대구공립 공업중학교로 개편하고 기계과·토목과·전기과·화학과·건축과의 5개과를 설치하였다. 1950년 4월 대구공업중학교와 대구공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다가 이듬해 7월 대구공업중학교를 폐지하였다. 1954년 방직과, 1961년 자동차과를 신설하여 총 33학급으로 증설되었다. 1973년 12월 야간부 5학급을 증설하였으며, 1974년 중화학공업 육성시책에 따라서 주간부 기계과를 15학급으로 증설하였고, 금속과 3학급을 신설하는 동시에 야간부를 학년당 9학급으로 증설하였다.

1998년 10월에 학칙변경으로 야간부가 폐지되었고, 2006년 9월에 교육인적자원부 산학협력학교 산학협력 우수 실업고 및 특성화 학교로 지정되었다. 2008년 12월에는 고등학교 학교평가 우수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09년 3월에 비즈쿨(BIzCool) 운영학교로 지정되었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성실, 창의, 협동’으로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을 찾아 '미래를 창조하는 대공인'을 육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편 전국 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하고 우수기능인을 발굴하여 국가의 기술기반의 선두주자가 되고자 우수학생을 선발하여 기능훈련을 하고 있는데, 1971년 독일 뮌헨세계기능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으며, 교육부지정 시범공고로서 해외진출기능공을 양성·배출하였다.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운영 종합심사에서 최우수교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전국대회에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각 분야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교기로는 축구부와 검도부가 있으며, 축구부의 경우 2004년 제31회 문화관광부 장관기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 등의 괄목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검도부의 경우 1998년 제17회 3.1절 기념 회장기 타기 검도대회 단체우승을 시작으로 2008년 제17회 회장기 전국 고등학교 검도대회 단체적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창업동아리 활동으로는 옥저로보틱스, 오래된 나무(목공예품 제작판매), HERB반(천연기능성비누제조), 섬우회(방석, 쿠션 디자인), CI발명반(생활용품제작), 한처음(성물제작)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황

2017년 2월 제88회 졸업식을 가졌으며, 총 졸업생수는 5만 3528명이다. 2017년 3월 현재 7개 학과에 41학급에 1,208명의 재학생과 교직원은 148명이다.

참고문헌

대구공업고등학교(www.tktech.hs.kr)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