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전서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선우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선우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을 쓴 연대를 참고해보면 1681년(숙종 7) 선우협의 문인 김기수(金起洙)·김광호(金光昊) 등에 의해 편집·초간된 듯하다. 1926년 후손 선우연(鮮于演) 등이 평양 용곡서원(龍谷書院)에서 전에 판각된 목판을 사용해 중간하였다.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과 권5의 중간에 박세채(朴世采)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5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1926), 고려대학교 도서관(1926), 일본동양문고(1681) 등에 있다. 초간본의 소장처는 미상이다.

내용

권1에 심학지요(心學至要) 33장, 권2·3에 역학도설(易學圖說)로 24개의 역도(易圖), 27절의 제해(諸解), 12편의 제설(諸說), 권4에 태극변해(太極辨解)로 13개의 도해(圖解)와 12편의 제설, 권5에 유문(遺文)으로 소 1편, 기 1편, 부(賦) 1편, 시 32수, 서(序) 1편, 부록으로 세계·행장·연보·효종조선거록(孝宗朝選擧錄)·문인록(門人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의 「심학지요」는 마음을 갈고 닦는 학문의 요체를 수합한 것이다. 천도(天道)를 비롯해 천인심성일리(天人心性一理), 성현(聖賢)의 도통(道統)과 교화(敎化), 사서오경의 대지(大旨)와 체용(體用), 학문(學問)·진덕(進德)의 요법, 심성의 수행 등을 경전(經傳) 및 염락관민(濂洛關閩)의 제서(諸書) 중에서 긍경(肯綮)의 요지만을 발췌하여 저술한 것이다.

권2·3의 「역학도설」은 하도(河圖)·낙서(洛書)·양의사상도(兩儀四象圖) 등 총 24개의 역도와 그 해설로, 제해(諸解)에서는 삼양역해(三樣易解)·칠양역해(七樣易解) 등 4종의 역해 방법론으로 분류해 각 항목마다 자기의 견해를 밝히는 주석과 찬(贊)을 달고 있다. 아울러 정자(程子)·주자(朱子) 등의 제설 12편을 싣고 있는데, 그의 『주역』에 대한 연찬의 심도를 말해준다.

권4의 「태극변해」는 그의 60세 때 저술로 태극·양의(兩儀) 등을 주로 한 도해와 설명이 있고, 태극설·음양설·일월설(日月說)·뇌전설(雷電說)·삼명설(三明說) 등 제설을 추가하였는데, 천지·자연과 도심(道心)을 연결시켜 태극의 원리를 풀이하고 있다. 권5에 수록된 소의 「사직진언소(辭職進言疏)」는 사업(司業)의 벼슬을 사양하면서 치심궁리(治心窮理)의 요체와 입현무방(立賢無方)의 도를 상소해 임금이 시행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대관부(大觀賦)」는 상당히 긴 장문으로 태극·이기(理氣)·산천·지리·천체·성인(聖人) 등 우주 대자연의 섭리와 사물의 변화하는 묘리를 노래한 것이다. 시에서도 「태산(泰山)」·「태극체용(太極體用)」·「오행(五行)」 등 철학적인 시가 대부분인 것이 특이하며, 그 격조와 운율이 엄격하다. 「효종조선거록(孝宗朝選擧錄)」에는 저자를 포함해 송시열·이유태(李維泰)·송준길(宋浚吉)·박세채·허목(許穆) 등 12인이 열거되어 있어 효종조에 천거되었던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끝의 「문인록」은 그의 문인 40인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관서지방의 학통과 연원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 자료이다. 그밖에도 역학에 관한 저술인 『돈암집저대역리상(遯菴輯著大易理象)』 2권 2책과 『돈암실기(遯菴實記)』 1책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역학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